[투데이에너지 이주영 기자] 자원외교 국정조사가 종료된 지금 정치 쟁점화된 해외자원개발사업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와해 위기에 처해 있다. 자원외교 수사는 사실상 동력을 상실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나 에너지공기업을 비롯한 자원개발업계 전반에는 침체적인 분위기가 널리 퍼졌으며 이는 업계가 해결해야 할 장기적인 숙제로 남았다.

이에 따라 본지는 ‘해외자원개발, 돌파구 없는가’라는 주제로 자원개발 전문가들의 의견을 연재 인터뷰로 게재하고자 한다. / 편집자주

“자원개발은 누가 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리는 폐쇄적이고 민감한 사업인 만큼 전문적인 인력양성은 우리나라에 반드시 필요하다”

김재동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교수는 기자가 던진 “요즘 업계 분위기에 대한 자원특성화대학 학생들의 동요는 없는가”라는 질문에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나라는 해외자원개발 역사도 짧고 채광 등 기술전수가 중간에 끊긴 적도 있다”라며 “이런 상황 속에서 자원개발을 반드시 해야겠다면 자원특성화대학 지원은 계속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동 교수는 우리나라가 자원개발에 적극 나서게 된 배경에 대해 “소위 2000년도 전까지는 자원가격이 저렴하고 공급자 경쟁구도가 형성돼 자원을 팔려는 사람이 줄을 섰던 바이어스마켓이었으나 2000년 이후 그 반대인 세일러스마켓으로 전환됐다”라며 “원자재나 에너지원 자급이 불가능한 우리나라로서 해외자원개발은 누가, 언제, 어느 정권이 하더라도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자원시장이 경기선행적인 성격을 띈다고 설명했다. 경기가 활황을 띄거나 퇴행 시 에너지·자원시장이 이보다 앞서 더 민감하게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양이 한정되고 재생산이 안되는 유한성을 지녔으며 국가 경쟁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투기성이 강하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이유로 자원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요소들이 업계에 침투하게 됐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로 “자원개발업계 종사자들의 실력이 아직 부족해 영향력이 강하지 않다보니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종사자 한 명이 대학졸업 후 업계 전문가로 양성되려면 15~20년에 걸친 현장경험은 필수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우리의 갈 길이 아직도 멀다는 얘기다.

또한 자원개발 프로세스나 특성을 알지 못한 채 자원개발사업에 편승하려는 일부 요인들을 제거하는 것이 자원개발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김 교수는 “이는 한 순간에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 광산 폐광에 따라 자원에 대한 투자, 지원, 인력양성 등이 실질적으로 중단된 상태에서 갑자기 자원개발을 추진해 성과를 평가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김재동 교수는 최근 위축된 자원개발업계 분위기에 대해 “선진국 역시 우리와 같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기한의 차이는 있어도 결국 겪어야 할 문제”라며 “시행착오 없는 성공을 바라는 것은 요행”이라고 지적했다. 자원개발역사가 짧은 우리나라로서 당연히 겪어야 할 진통이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민간기업이 자원개발에 진출한지 10년 정도 된 지금에서야 시장 성격과 리스크대비 요령을 파악하기 시작했다”라며 “실제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지난해 유전투자를 통해 수천억원 정도 이익을 거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는 그 기업에 실력 있는 사람들이 집약돼 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향후 자원개발사업 추진 시 정부보다는 민간 주도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민간이 사업을 추진하다 정부지원을 요청할 경우 정부는 적정한 요건 충족 시 제한적으로 지원하면 된다”라며 “민간의 가려운 부분을 정부가 긁어줘야 하는데 반대로 정부가 끌고 가려다 보니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자원개발은 특히 같은 사업도 누가 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리는 성향을 띄고 실력없는 사람이 진행하면 실패가 반복된다”라며 “무엇보다 우리가 실력을 갖춰야 하며 업계의 실력이 커갈수록 자원개발사업을 오해하고 잘못된 방향으로 이끄는 요인들은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