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올해 말 프랑스를 바라보는 시선이 뜨거울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200여개국에서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검토해 최종적으로 감축목표를 결정하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교통의정서 체제는 2020년 이후 포스트교토체제(신기후체제)로 넘어간다. 2005년부터 발효된 교토의정서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일부 선진국만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지웠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은 자발적 감축만이 요구됐다. 그러나 이러한 체제가 완전히 바뀐다. 세계 모든 국가가 자발적 감축목표치를 제시해 따라야 한다.

물론 우리의 경우 강제적인 조항은 아니지만 선진국의 집요한 감축압력에 내몰릴 가능성이 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우리는 세계 7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또 배출량 증가율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선진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관심이 쏠리기에 충분한 이유다.

일련의 과정을 들여다보면 향후 ‘온실가스 저감’이 에너지정책의 우선순위를 좌우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에너지기술이 부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연료전지업계에서도 ‘온실가스에 주목하자’는 목소리가 제시돼 주목된다.

에기평 이해원 연료전지PD가 특히 그렇다. 그의 말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제한적인 연료전지기술의 객관적 지표와 근거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향후 온실가스가 정책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순간을 대비하자는 취지다.

매우 설득력있는 주장이다. 최근 연료전지업계는 그다지 순탄하지가 않다. 사업여건이 악화되다보니 이것저것 정부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그러나 여러 신재생에너지원 가운데 연료전지만 지원할 수도 없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 기대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때 마침 정부가 연료전지를 기후변화대응기술로 선정했다. 기회다. 연료전지 지원을 위한 명분으로 이보다 더 좋은 것도 없다. 정책지원 근거가 명확하고 변화되는 환경에도 부응한다. 무엇을 준비하고 노력해야 할 지는 자명해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