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희대 부산디자인센터 정책조정실장
[투데이에너지 송두환 기자] “시장성을 고려한 후에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상품화할 수 없는 것은 애초에 만들지 않아야 한다.”

이희대 부산디자인센터 정책조정실장은 첫마디에 자신의 사업철학을 밝혔다. 그는 시장성과 상품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재정자립이 안되면 어차피 오래 못 간다”라고 말했다. 철저한 실용주의다.

그는 사업유치 전문가다. 부산 석대단지·모라단지 등이 그의 손을 거쳤다. 부경대학교에 380억원 규모 LED연구관련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몇 달 새 과천을 60번이나 왕복한 적도 있다. 그야말로 산전수전 다 겪은 야전사령관이다. 2011년 7월부터 부산디자인센터에 합류해 정책조정실을 담당하고 있다.

부산디자인센터는 2007년 4월 부산시 해운대구에 문을 연 디자인지원기관이다. 디자인이 취약한 지역중소기업과 공공분야에 디자인융합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동남권의 디자인산업을 강화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조하는 것이 목표다.

부산디자인센터는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3D프린팅의 메카’다. 지역중소기업의 신제품을 디자인해주고 시제품을 3D프린터로 만들어준다. 건물 곳곳에 수십대의 3D프린터가 필러를 녹여가며 제품을 만들고 있다. 1대에 3억2,000만원을 호가하는 3D프린터도 보유하고 있다.

건물 입구에는 3D프린터로 찍어낸 공예품을 판매하는 매장도 있다. 3D프린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을 수 있는 교육도 제공하고 있으며 전문인력을 양성해 취업 및 창업을 지원한다. 창업자들에게 사무실을 임대해주는 등 건물 내에 창업 인큐베이팅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

이 실장은 3D프린팅 창업자들에게 “일단 시제품을 만들어라”라고 강하게 조언한다.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완제품을 만들어가자는 생각이다. 시행착오 과정에서 시장성을 분석해 개선점을 찾도록 유도하는 것이 이 실장의 역할이다.

그는 다양한 사업을 접한 전문가답게 3D프린팅 사업의 핵심을 찔렀다.

이 실장은 “3D프린팅은 엔지니어링을 위한 기술이다. 장식품 만들려고 3D프린터가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라며 “디자인이 설 자리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점차 지원을 늘려 3D프린팅 원천기술 개발도 물꼬를 터야 한다”라며 “앞으로 인증센터와 특허센터, 신기술개발센터가 한자리에 모인 군락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