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길구 (주)RNP엔터프라이즈 대표

[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최근 산업부가 여러가지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다양한 사업모델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중 열병합발전설비도 하나인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로 초기에 좌초되지 않고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할 수 있었으면 한다”

국내 에너지산업에 대한 조길구 (주)RNP엔터프라이즈 대표의 말이다.

조 대표는 “현재 지방의 유리온실, 즉 파프리카 시설농가는 열병합발전설비에 대한 효용성을 인지하고 이를 도입하기 위해 설비설치 부지까지 마련했으나 초기투자비용문제로 현재는 여건이 되면 언제든 설치할 수 있도록 부지만 비워둔 채 건축 중”이라며 “에너지사업이라는 것이 정부의 의지 없이는 힘든 만큼 에너지절약을 비롯해 온실가스 저감까지 이뤄낼 수 있는 시설농가 열병합발전설비 설치에 대해 정부가 나서서 이끌어 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조 대표는 또 “국내 시설농가의 경우 난방비가 생산비의 30%에 달해 시설농업 선진국에 비해 품질뿐만 아니라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FTA시장 환경에서 고전하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많은 농가들이 난방비 절약의 목적으로 난방방식을 기존의 화석연료에서 전기난방(지열) 등으로 전환하게 됐고 이로 인해 값싼 농사용 전기공급이 증가, 국가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설명했다.

농사용 전기가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돼 있어 대부분의 모든 설비를 전기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력예비율이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한 대안 마련이 원전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조 대표는 “무엇보다 시설농가의 경우 품질향상을 위해 음료용 액화탄산을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구매해 작물에 CO2를 공급하고 있다”라며 “우리가 온실가스라고 부르는 CO2를 오히려 돈주고 사와야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 대표는 “정부는 CO2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입하고 있지만 감축은커녕 산업이 발전할수록 그 양은 증가하기 마련이다”라며 “농가 역시 그 면적이 늘어날수록 열 소비는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기존대로 유류에 의존하게 된다면 농가에 배출하는 CO2는 그대로이면서 굳이 작물에 공급하는 CO2를 따로 구입해 와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난방문제와 CO2공급의 문제를 모두 한번에 해결하는 대안이 바로 열병합발전설비라는 것이다.

조 대표는 “열병합발전의 경우 도시가스를 사용해 엔진에서 발생되는 폐열로 난방문제가 해결되며 추가로 생산되는 전기를 매전함으로써 도시가스연료비를 일부 보전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며 “특히 배기가스에 포함된 온실가스인 CO2와 질소산화물을 정화해 온실에 재사용함으로써 전기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 하는 탁월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조 대표는 “열병합발전설비는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활용, 발생한 CO2까지 다시 사용함으로써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여는 물론 송전설비투자비감소 및 송전손실 절감 등 스마트그리드 구축이라는 사회적 편익을 가져다 준다”라며 “무엇보다 농가의 경우 기존 난방방식에 비해 매전수익과 CO2 구매 대체효과로 경유난방대비 약 78%의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정부의 경우 면세유나 농사용 전기에 소요되는 정부보조금 절감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시설농가에 설치된 열병합발전설비 지원정책이 없어 사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시설농가 난방지원은 전력대체사업의 일환이면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국가의 핵심과제를 모두 담고 있는 만큼 전력기반기금, ESCO사업, 저리융자 등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지원사업이 절실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