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집단에너지업계가 열병합발전에 대해 별도의 전력거래계약제도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정부가 경영난에 허덕이는 집단에너지업계의 현실을 외면하고 분산형전원의 비중을 증가시킨다는 정책은 현실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정부는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오는 2035년까지 분산형전원의 발전량 비중을 전체 발전량의 15% 이상으로 확대,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오는 2029년까지 총 발전량의 12.5%를 분산형전원으로 공급한다고 밝혔지만 집단에너지업계에서는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분산형전원의 주요 수단인 집단에너지사업은 35개 사업자 중 25개 사업자가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LNG복합발전소도 대부분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그 어려움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기정사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전력산업연구회가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적정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용량요금을 현실화할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집단에너지업계와 LNG복합발전소 사업자들은 용량요금을 현실화를 요구한 반면 이 부분은 아직 검토가 필요해 당장 결정할 수 없다.

인상할 경우 전기료 인상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결국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원별 현황을 다시 재점검해야 되는 상황이며 원전 건설을 어떻게 진행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집단에너지사업과 LNG복합발전사업을 같이 묶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를 수 있지만 해당 업계마다 현 정부 정책에 불만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산업계의 부족한 전력 공급 및 송전 비용 절감 등에 도움이 돼 왔던 이들 업계에 대해 근본적 해법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