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CCS(carbon capture &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류청걸 한국CCS협회 부회장은 ‘국내 CCS 기술의 기회와 현황’ 특강을 통해 “화석연료는 지속적인 미래 주력에너지원으로 CCS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원욱 의원도 지난 국정감사에서 “노르웨이의 경우 온실가스배출량이 우리의 10분의 1수준보다도 낮은데도 CCS 설치 비율은 우리보다 3%나 앞서고 있다”라며 “현재 각 부처로 나뉜 CCS 기술개발계획을 하나의 부서로 집중해 사업을 추진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2012년 OECD 통계자료를 보면 온실가스 배출현황에서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 캐나다, 멕시코에 이어 6번째로 2012년 한 해 6억8,800만톤을 배출했으며 이는 호주나 프랑스 등에 비해서도 월등하게 높은 수치였다.

CCS는 2010년 국가 CCS종합추진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플랜트 상용화와 국제 기술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지난 2014년 세계 최초로 10MW 연소 후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파일럿 플랜트를 한국남부발전 하동화력 8호기에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산업부는 파일럿 플랜트 사업성과에 대해 전문기관 검증을 거쳐 평가한 이후 100~300MW급으로 확대, 대규모 통합실증 프로젝트 추진을 검토할 계획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CCS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문제는 발전사 및 민간사업자들이 CCS에 많은 재정적 투자를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아직 기술개발이 더딘 상황에서 무리한 투자를 할 기업은 없다.

이에 정부의 지원정책이 뒷따라야만 발전사 및 민간사들의 기술개발이 한발짝 빨리 다가 설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CCS 보급 확대는 정책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확실한 기술개발 지원이 이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