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대통령 세일즈 외교로 체코 원전 수출에 대한 희망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5월 체코전력공사가 발표한  원전건설 계획에 의하면 내년 6월까지 신규원전 사업모형과 입찰방식을 결정한 뒤 2019년 공개입찰을 통해 공급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수출을 통해 국부를 창출하는 경제 모델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출 여부에 따라 국가 경제가 출렁일 수 밖에 없는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우리나라 수출은 엔저로 무장한 일본과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의 영향으로 고전을 하고 있다.

그래서 원전 수출과 같은 고난이도 기술과 제품의 수출은 활력을 잃은 우리 수출의 동력을 살릴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우리나라 원전 수출은 2009년 4기의 한국형 원전을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러나 터키와 베트남 원전 수출은 일본에 밀려 고배를 마시기도 했다.

특히 터키 원전의 경우는 우리나라가 터키와 총 사업비 220억달러에 달하는 원전4기 건설에 대한 MOU를 2010년 체결했지만 2013년 일본이 최종 건설 사업자로 선정됐다.

베트남 역시 우리나라가 먼저 베트남 정부와 원전 건설 교섭을 벌이고 계약 성사 단계까지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수주한 경우다.

문제는 자금력이었다. UAE와 같이 발주하는 국가에서 건설비용을 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먼저 건설하고 전기료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인 터키와 베트남의 경우는 일본의 막강한 자금력을 당할 수 없었던 것이다.

체코의 경우도 비슷하다. 따라서 일본이나 중국같이 막대한 자금력과 경쟁해서 원전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한전이나 한수원에게 맡겨만 놔서는 안된다. 정부가 직접 나서서 자본의 집중을 창출해 경쟁국가의 자금력에 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이미 수출한 UAE원전을 완벽하게 건설해 국제적으로 신뢰도를 쌓아야 한다.

원전 수출 환경은 금년도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해 종전보다 유리한 상황이다. 또한 지난 수 십년간 쌓아온 원전 운영에 대한 노하우 역시 우리가 갖고 있는 경쟁력 중에 하나다.

따라서 지금부터 차근차근 원전수출을 위한 준비를 해 나간다면 체코는 물론 앞으로 여러 나라에서 원전을 수주하는 쾌거를 이룰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