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성혁 기자
[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환경부의 수소차 로드맵 발표를 앞두고 관련시장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환경부는 산업부의 ‘친환경차 기본계획’ 발표 일정에 맞춰 로드맵을 공개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2010년 발표된 ‘그린카 로드맵’ 중 수소차 보급계획은 이뤄지지 않았다. 연도별 구체적인 숫자까지 언급됐지만 예산과 의지 부족으로 보급률은 제자리다. 그러나 이번은 다른 분위기다. 시장의 기대가 높다. 그도 그럴것이 2010년과 지금은 상황이 매우 다르다.

2013년 현대차가 수소차 양산체제를 세계 최초 구축했고 2014년 말 도요타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예약판매를 실시해 깜짝 놀라게 했다.

어디 이뿐인가? 혼다는 2016년 초 수소차 상용모델 출시를 예정하고 지난달 도쿄모터쇼에 차량을 선보였다. BMW와 다임러, 포드는 물론 최근 디젤게이트 당사자인 폴크스바겐 조차 2017년을 기점으로 차례로 수소차 출시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쯤 본격적인 수소차경쟁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향후 5년이면 길지 않은 시간이다. 이러한 때 관련부처의 ‘수소차 로드맵’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지사다.

최근 업계는 정부의 충전인프라 투자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수소차 보급에 인프라 구축 정도가 중요한만큼 그 어느때보다 정부의 과감한 투자의지를 요구하고 있다.

충전인프라 구축은 ‘투자비’가 아닌 ‘결단’의 문제라고도 압박한다. 5,000억원만 투입하면 국내 수소차시장이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이라는 논리도 내세운다.

실제 수소차시장은 차량뿐만 아니라 부품, 수소충전, 저장, 이송 등 타산업의 파급효과가 커 정부의 ‘에너지신산업’ 정책과도 부합된다. 통 큰 정책을 제시해 시장의 신뢰와 투자를 이끄는 것이 실리를 챙기는 것일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