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1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안전산업박람회 어린이안전체험행사에서 어린이들이 지하철화재사고를 체험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박상우 기자] 국민안전처가 갈수록 대형화·복잡화·다양화 되는 재난안전을 예방하기 위해 교육 콘텐츠와 교육 받을 의무 대상자 범위를 확대하는 등 관련 정책을 잇따라 발표했다.

지난달 21일 국민안전처는 특수재난사고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특수재난분야 종사자가 언제든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E-러닝 콘텐츠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약 1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E-러닝 콘텐츠를 개발해 특수재난분야 종사자가 언제든지 온라인상에서 학습·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예정이며 기존 특수재난 오프라인 집합교육(특수재난 관리과정, 권역별 순회교육)과 연계해 상호보완적 학습과정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특수재난분야는 △대형교통사고 △환경오염사고 △감염병 재난 △가축질병 △원자력 안전사고 △밀집시설 및 산업단지 대형사고 △에너지 관련사고 △정보통신사고 등 총 8가지이며 대상은 특수재난 관련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단체(민간포함) 종사자 등이다.

또한 국민안전처는 교육 의무 대상자 확대 등 재난안전 전문교육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으로는 먼저 재난관리자급 교육 의무 대상자를 중앙부처 및 지자체 국·과장급에서 지자체 부단체장까지 확대한다.

이와 함께 재난관리책임기관(중앙행정기관 43개, 지자체 245개, 공사·공단 등 98개)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장이나 직원 등 교육의무 대상자를 명확화한다.

또한 재난교육기관의 전문성을 고려해 기관별로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육수준을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재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수요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점을 고려해 재난교육기관을 중앙부처 및 시·도 소속의 교육기관에서 재난책임기관인 공공기관 소속의 교육기관까지 확대해 운영한다. 이와 함께 재난안전교육원(관리자급 및 전문성분야 (필수전문교육과정 운영))과 각급 교육기관(실무자 위주 재난안전교육) 등 재난안전 전문교육기관 간 역할을 명확화 한다.

지난달 26일 국민안전처는 ‘2016 안전혁신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올해 안전관련 3대 정책을 발표했다.

이 중 하나가 국민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안전공동체 중심의 안전문화운동을 활성화하는 계획이 포함된 안전생태계 조성이다.

국민안전처는 안전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교육 콘텐츠, 재난안전 체험시설, 안전교육 강사 등 안전교육 3요소를 확충하고 안전문화운동 활성화를 위해 기존 ‘캠페인·홍보’위주에서 ‘점검·교육·신고’를 핵심수단으로 정하고 이를 추진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국민안전처가 재난안전 교육 시스템을 강화하는 정책을 내놓았는데 이는 점차 다양화·복잡화·대형화 되는 재난사고를 예방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안전에서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사회구성원의 안전의식을 높여 안전문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기술과 함께 안전을 중시하는 문화 형성이 중요한데 그 바탕에는 높은 안전의식이 있어야 한다.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 교육이 필수적이다. 

한 전문가는 “대부분의 사고가 사람의 실수와 왜곡된 안전 의식에서 기인한다. 다시 말해 ‘나는 괜찮겠지!’, ‘대충대충’, ‘별일 있겠어?’, ‘빨리빨리’, ‘무지·무관심’ 등의 안전에 대한 의식 결여와 안전문화 정착이 뒷받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가 일어난다”라며 “따라서 사업장의 재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이 안전기술 향상과 더불어 안전문화의 정착이라고 생각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지난 2009년 허드슨 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비행기 불시착사고의 당시 기장이 국회에서 아무런 피해없이 비상착륙을 한 이유를 사전에 수많은 훈련을 통해 돌발상황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증언한 것처럼 사고대응에 대한 분명한 체계를 잡도록 사전에 교육과 훈련을 하는 문화정착에 투자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처럼 안전기술 향상만큼 중요한 것이 교육과 훈련이며 이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교육원이 지난해 실시한 교육사업진단컨설팅 용역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가스안전교육이 연 7.5건의 가스사고 감축과 사고감소로 연 1,210억원의 경제적 편익을 가져왔으며 교육원의 안전교육활동을 통한 기업비용 절감액 효과는 2014년 기준 177억5,200만원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적이 있다.

이는 교육으로 안전문화가 형성되면 사고건수 감소와 사회적 비용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번 안전교육 강화방침이 우리 사회의 안전문화를 형성하는데 큰 계기가 되도록 정부를 비롯해 공공기관, 기업, 국민 등이 적극 동참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