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재강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재강 기자] 가스냉방(GHP)설비 보급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한국전력과 삼성전자가 ESS(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해 냉난방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2월18일 양사는 ‘ESS식 냉난방설비’의 규격제정을 위한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ESS 냉난방설비는 심야시간대에 ESS를 충전 후 냉난방설비(시스템에어컨) 전용으로 방전해 냉난방하는 설비를 말한다. 양사는 이 설비로 전력피크 감소 및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가스업계의 시름은 깊어갈 수밖에 없다. 그동안 가스냉방은 설비비용이 높아 보급이 더딘 상황이었다. 여기에 설비비용의 일부를 정부의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다.

초기 투입 비용이 크다보니 운영자 입장에서는 꺼리는 게 당연하다. 그럼에도 가스업계는   여름철 전력 과부하의 대안으로 가스냉방이 적합하다는 논리를 줄곧 펴왔다. 일부에서는 이런 논리도 이제는 약발이 다했다는 말도 나온다.

최근 가스업계에서도 기존의 가스냉방보급에 한계가 있음을 토로하기도 했다.

한 가스업계의 관계자는 “전력 피크 분산효과만 주장하는 것은 이제 구시대적인 발상”이라며 “업계가 정부의 보조금지원에만 매달리는 것도 문제가 있어 새로운 대안이 제시돼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의 말처럼 이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할 때다. 과거의 방식처럼 가스업계가 GHP를 홍보해서는 더 이상 미래는 요원하다. 무한경쟁체제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때만 살아남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번 일을 계기로 가스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뭉쳐야 한다. 가스공사, 도시가스협회, 도시가스사, 기기 제조업체 등 각자 따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 기존의 보조금 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기기비용, 설치비용 등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한다.

소비자는 냉정하다. 한 번 돌아서면 되돌릴 수 없는 게 지금의 시장체제이다. 이제 선택의 여지가 없다.

지금부터라도 업계가 GHP 보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GHP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그로 인한 업계의 피해는 자업자득으로 돌아올지 모를 일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