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정책은 시장을 움직인다. 특히 자율시장에 이르지 못한 초기사업은 더욱 그렇다. 대표적인 것이 정부 보조금사업일 것이다. 정책방향에 따라 민간참여가 좌지우지된다.

정부는 시장성장 가능성과 산업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지원사업을 선택한다. 보조금 등의 당근을 쥐어주고 민간투자를 이끌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병행 실시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민간이 바로 뛰어드는 것은 아니다. 민간이 투자해야 할 몫이 남겨져 있기 마련이다. 세상에 공짜는 그 어디에도 없다. 그래서 끊임없이 묻고 확인하려 든다. ‘우리 투자해도 될까요? 믿어도 되나요?라고.

최근 수소산업에 변화의 바람이 조금씩 일고 있다. 특히 수송용시장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눈치다. 수소연료전지차 상용화가 언급되고 여기저기 완성차업체가 내놓는 출시계획이 이러한 움직임에 한 몫한다.

차량이 소비되려면 연료를 주입할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인프라 구축 없이는 수소차를 구매할 소비자는 없다. 정부도 이를 알고 있다. 지난해 말 정부는 부처 공동으로 보급계획 청사진을 내놨다. 2020년 수소차 대중화 원년을 맞기 위해 충전인프라와 차량보급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하위계획도 일부 구체화되고 있다. 충전유형에 대한 실증사업이 제시되고 제도선진화를 통해 진입장벽을 낮추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초기시장이라는 특성과 한정된 예산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조치다.

시장은 정부의 이같은 정책을 반기면서도 차분한 모습이다. 아직 의심의 눈초리를 완전히 걷어낸 것이 아니다. 이는 학습효과에 기인한다. 정부는 앞서 두 번의 보급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특히 2010년 그린카 로드맵 발표에 담긴 수소차 보급계획은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이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움직임은 포착된다. 최근 민간 주도로 수소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충전협의체 구성 움직임이 대표적이다. 이후 충전소 구축기술을 보유한 글로벌기업들의 시장참여도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민관협의체 구성을 위한 정부 용역이다. 시장에서도 뜨거운 감자다. 향후 수송용 수소시장의 정책개발과 실행의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5월말 최종보고가 예정됐다. 이후 시장의 모든 눈은 정부에게 쏠릴 것이 자명하다. 그만큼 관심과 기대가 높다. 다만 부처간 협의도 필요하고 시장의 이해를 구해야 할 사안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단 한가지, 비록 늦어지더라도 흐지부지 없던 일이 돼서는 안된다. 시장의 변화는 정책의 신뢰가 담보돼야 한다. 특히 이번 용역은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