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키오 아와주(Yukio Awazu) 일본 HySUT 정보홍보부장
[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초기시장인만큼 정부지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하나 그 보다 중요한 것은 민간의 역할이다. 특히 리딩기업이 나와야 한다. 리딩기업을 중심으로 민간의 수소충전소 구축이 활발하게 전개돼야 할 것이다.”

단호한 어조였다. 한국의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 활성화에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 유키오 아와주(Yukio Awazu) 일본 HySUT(수소공급이용기술연구조합) 정보홍보부장은 이렇게 답했다.
 
일본은 올해 2월말 기준으로 82개소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됐다. 당초 지난해 말까지 100개소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조금 늦어지고 있다. 아와주 부장은 올해 말까지 100개소 구축이 완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와주 부장이 소속된 HySUT은 일본 수소충전소 구축의 핵심역할을 담당한다. 일본 3대 자동차메이커인 도요타, 혼다, 닛산과 JX에너지, 이와타니, 가와사키, 도쿄가스와 같은 에너지기업, 치요다코퍼레이션, 에어리퀴드 등 총 23개 기업이 가입돼 있다. 수소충전소 구축을 주도하거나 구축시장 장비공급에 나선 기업들 대부분이 참여한 민간단체다.
 
수소충전 인프라는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등 4개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이 활발하다. 도쿄지역이 38개소로 가장 많은 충전소를 확보했으며 나고야 20개소, 오사카 12개소, 후쿠오카 12개소가 각각 구축이 완료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82개소 가운데 26개소가 이동형(Mobile) 충전소다. 2014년 후반부터 지난해 빠르게 확산됐다. 아와주 부장은 “이동형은 충전인프라가 부족한 수소차시장 초기에 매우 유용한 형태이다”라며 “수소차 이용자의 편의를 높여 시장의 빠른 안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충전인프라 구축과정에서 어려움도 따랐다. 특히 부지확보와 주민 동의 과정이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아와주 부장은 “인프라를 설치하고자 할 때 교통환경, 부지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하는 것도 어렵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대 등 민원제기 시에는 진행이 더딜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주민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적극적으로 실시해 환경을 위하고 안전에 큰 문제가 없다는 점을 끈기를 갖고 이해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HySUT는 충전인프라 구축 외에도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충전장비의 규격 등 표준정립을 비롯해 규제 선진화, 충전 실증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아와주 부장은 “수소충전장비의 경우 국제표준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상태로 미국과 유럽 등과의 정기적인 협의를 통해 관련 규격마련에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이 외에도 HySUT는 수소공급 인프라 확대라는 목표 아래 장비 및 시스템 비용 절감과 수소차 보급 확대 등 환경조성에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수소시장 동향에 대한 질문에는 현대차가 수소차 투싼ix를 생산하고 있다는 정도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밝지 않았다. 이에 덧붙여 최근 수소 충전인프라 구축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말했다.
 
아와주 부장은 수소인프라 구축에서 민간활동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당장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민간이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라며 “그렇기에 초기에는 정부지원이 필요하지만 정부에만 기대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현대차나 또 다른 특정기업이 전면에 나설 필요가 있다”라며 “결국 민간이 주도적으로 나서야 인프라 구축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