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나영 기자
[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폐열활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부는 고민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폐열이라는 단어보다는 미활용열이라는 단어를 선호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처럼 폐열이라는 이름으로 버려졌던 에너지원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미활용열이라고 일컬었다.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 한국지역난방공사를 통해 열배관망을 구축하겠다는 거대한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이보다 먼저 선행돼야 할 것이 있다고 관계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그동안 폐열로만 취급됐던 것이 에너지원으로써의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단가 역시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전력 예비율이 높아지면서 전력생산 감소와 함께 미활용열도 줄어들어 단가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이를 연료로 하는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은 울상을 짓고 있다. 생산 단가가 높아지면 당연히 비싼 가격에 사와야 하지만 폐열은 특히나 기준단가가 없어 부르는 것이 값이기 때문에 아쉬운 사람이 먼저 꼬리를 내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렇다보니 폐열에 대해 하한가와 상한가를 정해 공정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이다. 실례로 한 제철사는 폐열을 팔기 위해 기준단가를 물어왔다. 하지만 기준단가가 존재하지 않고 사업자마다 각자의 여건에 따라 가격을 책정한다는 말에 납득을 못하겠다는 듯 보였다.

남는 열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버려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관계 전문기관에서는 폐열의 기준단가 마련을 선행해 보다 활용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한다. 활용도가 높다고 떠드는 것은 중요치 않다.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는 것이 더 시급한 문제일 것이다. 활용도에 대한 가치가 설정된다면 굳이 정부가 나서지 않고도 시장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슈가 던져진 만큼 정부가 어떻게 신속한 조치를 취할 것인지 행보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