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제주도가 왜 전기차인가 하는 물음에 “청정지역인 제주도가 갖는 지리적 특성과 가장 잘 맞는 콘텐츠가 전기차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김대환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IEVE) 조직위원장의 말이다.

그는 2013년 정부의 마이스산업 과제 공모에 지원해 보조금 2억원으로 ‘전기차엑스포’를 시작했다. 컨퍼런스와 세미나 등의 회의만으로는 제주도의 전기차 보급에 한계가 있어 모터쇼를 기획했다고 한다.

그렇게 시작된 엑스포는 24일 3회 대회까지 마쳤다. 145개 기업이 참여했고 20여개국 정부 및 산업계 관계자가 찾아와 전기차산업 생태계를 논하고 관련 기술과 정책방향을 고민했다. 규모와 내용면에서 이제 국제적 행사로 한발 더 다가 선 느낌이다. 벌써부터 4회 대회가 기대된다.

‘될성부른 떡잎’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간은 두 번의 엑스포로 충분했다. 이번 3회 엑스포는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을 지가 관점 포인트였다. 적어도 내게는 그랬다. 단순히 롱런(long-run)할 수 있을지의 문제가 아니다. 글로벌 관심을 이끌어 유의미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었다.

결과적으로 합격점을 주고 싶다. 새로운 시도가 돋보인다. 특히 다양한 충전방식의 표준화를 논하는 국제표준포럼이 이번 대회부터 개최돼 정기적인 교류와 협의를 진행키로 했다. 전세계 주요 도시의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전기차 보급사례를 발표하고 확산 방안을 협의하는 리더스라운드테이블도 마련됐다.

어디 이뿐인가? 한국을 비롯한 12개 국가 전기차 협·단체, 기업들이 참여하는 전기차 글로벌협의회를 공식 출범했다. 협의회는 각국의 전기차 정책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게 된다. 공동펀딩을 조성해 신사업투자도 진행키로 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다보스 포럼’을 언급하는 횟수가 부쩍 늘었다. 전기차엑스포를 전기차산업의 ‘다보스포럼’으로 키우고 싶다는 바람을 전한 것인데 이러한 프로그램이 제역할을 해 나간다면 못 이룰 일도 아닐 것이다. 그러나 우려도 있다. 개최도시와 조직위를 바꿔야 한다는 설익은 얘기들이 그렇다. 비록 소수의 주장이더라도 듣기에 매우 거북하다. 명분이 옳고 그름을 떠나 이제 막 세 번의 행사를 개최했다. 지금은 격려하고 힘을 북돋울 때다. 갈등을 조장할 때가 아니라는 말이다.

조금만 더 길게 보자. 특정 사람과 조직이 아니더라도 시스템이 움직일 수 있는 시기는 온다. 엑스포의 뿌리가 깊고 굳건히 내리는게 우선이다 지금은.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