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장묵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수요관리PD
[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현재 우리나라는 전부 전기쪽으로 정부 정책이 흘러가고 있어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인 만큼 열을 통한 에너지효율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장묵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수요관리PD는 “전기의 주요 소비처는 도심이기 때문에 밀양 송배전 문제를 비롯해 발전소 부지, 원자력 부지 등의 한계성이 있고 사회적 비용이 상당히 들고 있다”라며 “언제까지 전기로 갈 것이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열로써 효율화시키고 기술 개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원 PD는 “하지만 전기의 편리하고 안전하고 값이 싸다는 장점들이 이를 넘어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러한 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열부문 R&D를 통해 밸런스를 맞춰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생각이다”고 강조했다.

원 PD에 따르면 유럽의 경우 써멀그리드(열네트워크) 형태를 많이 연구하고 있다. 유럽도 우리나라와 같은 관점에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원 PD는 “장기적으로는 열도 온도와 압력을 통해 가격거래를 해야한다고 본다”라며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수열 온도가 제각각이지만 가격은 같다”고 말했다.

한난은 80℃에서 쓰다가 히트펌프를 통해 100℃로 올려서 팔 수도 있지만 가격은 같은 상황이라는 것. 그러나 유럽에서는 온도에 따라 열요금을 달리하고 있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원 PD는 “이와 관련 크게 4가지 분야에서 R&D를 추진 중”이라며 “첫째 써멀그리드 즉 열네트워크, 둘째 토탈에너지네트워크시스템, 셋째 미활용열에너지 활용, 넷째 그린히트프로젝트 등이 있다”고 계획을 밝혔다.

써멀그리드에 대해 R&D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는 것이다. 전기와 열 더 나아가서는 가스와 물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네트워크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원 PD는 “가스 물까지 정해진 커뮤니티에서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부분이 필요함에 따라 열 수요처와 공급처의 밸런스를 맞춰주자는 의미”라며 “산업단지 도심 등 모두 마찬가지로 토탈에너지네트워크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원 PD는 “지하철 탈 때 열기가 훅 올라오는데 그 열을 이용해 히트펌프를 활용, 플랫폼의 냉난방을 해결하는 미활용열에너지를 다각화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라며 “워낙 작은 양은 맞지만 활용도도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원PD는 “수도권그린히트프로젝트는 열 수열을 이용해 링크시켜 활용하겠다는 것으로써 열에 대해 몰고 나가자는 것이 정부의 큰 방향”이라며 “전국 미활용 열에너지 온배수 LNG 공급시설이 있으며 한국가스공사에서 나오는 냉열을 활용하는 방안 등 여러 방면에서 기술개발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이에 앞서 원 PD는 “에너지신산업에 반영돼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려고 한다”라며 “고밀도 축열로 단위면적당 5~10을 축열할 수 있는 축열조를 설치, 고온의 열택배사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기존은 현열만 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잔열을 모두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 PD는 올해 중으로 기획을 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미활용에너지 파트 등에 대한 고민은 이번 에너지신산업 과제에 포함되기도 했다”라며 “기술개발, 기획과 R&D를 하는 것 등 이런 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원 PD는 “이번에 1차 공고되는 것에는 미활용에너지가 다 빠진 상황”이라며 “다만 내년 사업이 12월에 공고가 나기 때문에 그때 많이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