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분산형전원을 논할 때 독일은 빠지지 않는다.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사태를 겪고 독일은 원자력발전의 전면 철수를 선언했다. 이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서도 선도적 역할을 자처하며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강력히 추진해왔다.

그 중 GE Power의 도움을 받아 담슈타트 공과대학에 설치된 열병합발전소를 찾아 운영형태에 대해 알아봤다.

담슈타트 공과대학은 연간 열은 6만Mb, 전기는 3만5,000Mb 규모를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를 갖추고 있으며 축열조 6개를 보유하고 있다.

담슈타트 공과대학뿐만 아니라 20km 내 공공건물에 열과 전기를 공급하고 있는데 이 사업을 하고 있는 STEAG는 독일에서 5번째로 큰 사업자로 풍력사업도 함께 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Michael Stapf STEAG 담슈타트 총괄은 “온수는 130℃ 정도로 공급하는데 이 시설은 5명이 관리하고 있으며 24시간 풀가동하지만 저녁시간에는 Auto 모드로 운영이 된다”라며 “이곳에는 2MW급 CHP를 3대와 열전용보일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기와 열은 직접 생산판매하고 있지만 현재 생산되는 90%를 담슈타트 대학에 공급하고 있어 특별히 다른 사업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20km 이내의 관공서에는 열과 전력을 공급하는 등 직접 판매형식의 사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력수요가 줄어들 때는 부하를 맞춰서 생산자체를 줄이는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분산형전원의 전형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소비되는 용량만큼 설비를 설치하고 권역 내에서 필요량만큼만 운영함으로써 손실을 줄이는 구조다. 사업자의 이익과 소비자의 편익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지점을 찾은 것이라고 해석된다.

Stapf 총괄은 “설비를 비롯해 배관망설치 투자비에 대해서는 정부로부터 15년간 계약을 통해 원가회수와 관련 보조금을 받고 있기 때문에 사업상 손실은 없다”라며 “사용자들이 요금을 여러 가지 합쳐서 내는데 기본금이 있고 원거리에 대한 사용료가 별도로 부가된다”고 말했다.

독일은 EU-ETS 적용 국가이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는 열병합발전설비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최근 열병합발전 지원에 대한 관계법령을 개정해 보다 확대할 수 있도록 방침을 마련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