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국장] 평택 연료전지발전사업이 결국 무산됐다. 평택시는 8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투자협의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 소식을 듣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이 ‘옛말 하나 그르지 않구나’ 였다. 소문난 잔치 먹을 거 없다고 하지 않던가.

평택연료전지발전사업은 처음부터 남달랐다. 가장 먼저 발전용량에서 기존 사업과는 비교되지 않는다. 발표 당시 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국내 연료전지발전 총용량이 150MW 안팎인 상황에서 이 프로젝트는 360MW 규모를 자랑했다. 사업비로만 2조원에 달한다.

협약식 발표도 특별했다. 초대형 용량임에도 시장에서조차 ‘깜짝 발표’로 여길만큼 어느 순간 터져 나왔다. 참여기관은 또 어떤가. 산업부 무역투자실, 경기도, 평택시(이상 정부·지자체)를 비롯해 한국가스공사(연료공급), 포스코에너지, 두산(이상 시스템 공급), 한국투자증권, 다비 오버시즈(이상 투자사), 한국남부발전(REC 매입), GK홀딩스(사업주관사) 등이 모였다. 정부·지자체, 공사, 대기업, 금융권, 개발사 등 무려 10개 기업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화려한 멤버진을 자랑했다.

남다른 스케일과 화려한 참여사로 관심을 끌었지만 프로젝트는 결국 협약을 체결한 지 2년을 한달 가량 남긴 시점에 ‘종료’를 선언하고 말았다.

무엇이 문제였는지 더듬어 보자. 가장 먼저 사업성 부재다. 프로젝트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어야 할 시스템공급사조차 당시 사업추진 의지가 크지 않았다. 사업성이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생산된 전기와 함께 열 판매가 이뤄져야 사업성을 기대할 수 있는데 주변지역에 열을 공급할 곳이 마땅찮았다.

더군다나 해당 지자체는 사업추진 요건으로 시스템공급사의 제조시설 투자를 사업참여 전제조건으로 명시해 버렸다.

시설투자는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만큼 기업의 사업비전과 투자여력, 시장환경 등 다양한 조건을 검토해 결정할 사안으로 사업참여의 조건으로는 부적절했다.

결국 끈질긴 투자요청에도 불구하고 시스템공급사는 사업 참여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지자체의 무리한 성과주의가 나은 결과로 밖에는 볼 수 없다. 당시 경기도와 평택시는 프로젝트 추진으로 300억원 규모의 외자유치와 500명의 신규고용, 3,000여명의 간접고용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지지부진했던 평택호 관광단지 조성사업의 정상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입장이었다.

지자체의 성과와 치적을 위해 너무 성급하게 터트린 사업은 아닌 지 뒤돌아볼 일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