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국장] “(최근 프랑스 방문에서) 기술협력 강화 등 적지 않은 성과를 냈는데 이러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챙겨 관리토록 하고 특히 수소차 활성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주길 바란다”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이 꺼낸 말이다. 회의석상에서 주요 부처 장관들에 직접 당부했다고 한다.

수소차가 정책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미세먼지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수소차가 주목받는 모양새다. 수소차는 배기가스 배출이 없다. 궁극의 제로이미션 차량이다. 게다가 타연료 차량에서 뿜어져 나오는 배기가스까지 정화시킨다. 도로 위 달리는 공기청정기인셈인데 이같은 특성으로 미세먼지 절감대책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이미 정책변화가 감지된다. 지난 연말 환경부의 수소차 보급계획 발표가 있었음에도 6개월 만에 계획을 틀었다. 2020년까지 계획된 보급규모를 소폭 늘렸다. 

차량보급에 필요한 충전인프라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례기준을 우선 마련해 다양한 실증모델이 검토되고 있고 내년에는 고속도로에서도 충전소가 구축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한 발 더 나아가 수소차 보급을 위한 민관 컨트롤타워 운영계획을 발표한다고 하니 더욱 기대된다. 부처가 서로 공조하고 민관이 함께 움직인다면 수소차 보급에 탄력이 붙을 것이다.

수소차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한 가지 아쉬운 대목이 있다. 수소차부품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예타사업이다.

충청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은 지난해 1월 산업부 심의를 통과한 후 4월 기재부 재정사업 평가자문위에서 예타조사사업으로 확정돼 기대를 높였다. 통상 6개월 검토기간을 거쳐 예타사업 확정 여부가 결정되는 일정을 감안해 지난해 연말정도 결과가 제시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아직 결정되지 않고 있다.

수소차 보급 정책이 단지 미세먼지 절감만을 위해서 검토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차 양산기술을 보유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환경문제에 적극 대응하면서 산업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으니 말이다.

수소차는 초기시장에도 진입하지 않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여러 조사기관 분석에 따르면 2020년까지 수소차시장이 형성되고 2020~2035년 성장기를 거쳐 안정기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러한 전망을 놓고 볼 때 초기시장은 완성차업체간 기술경쟁으로 승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단계를 지나면 부품업체가 차량 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결국 부품경쟁력을 확보한 완성차업체가 곧 다가올 수소차시장의 승자가 될 확률이 높다는 얘기다.

차량보급과 충전인프라 구축이 관련산업 생태계에 숨통을 틔우는 역할은 하겠지만 정부가 내심 바라는 차량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품산업 육성이 시급하다. 더 이상 예타사업을 미뤄서는 안된다. 자칫 골든타임을 놓칠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