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모처럼 LPG업계가 활기를 보이고 있다.

LPG수입사는 석유화학용 수요 증가로, 충전, 판매 등 LPG업계는 배관망사업과 셰일가스로 떨어진 LPG가격 때문이다.

전세계적으로 부탄보다 프로판 생산량이 앞으로 더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석화사는 물론 LPG수입사, LNG직도입 회사들에서도 프로판 저장시설을 앞 다퉈 구축하고 있다.

납사대비 LPG가격이 20% 저렴해 지면서 부탄보다 프로판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며 이를 반영한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유가 하락에 따른 LPG가격이 크게 떨어진 효과지만 앞으로 언제까지 이같은 모습이 지속될 것인지는 아무도 장담하지 못한다.

마치 폭풍을 앞두고 고요한 모습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더 커진다.  부진을 면치 못하는 부분도 없지 않다. 바로 LPG차량 감소에 따른 수송용 수요 둔화가 커질 것이라는 점이다.

미세먼지 대책의 현실적 대안으로 LPG자동차가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정책적으로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가려 반영할 것은 반영하고 대안도 제시해야 하지만 LPG차 연료사용제한 규제 폐지에 귀를 막고 있는 것이 아니냐 라는 곱지 않은 시선도 늘어나고 있다. 

다른 부처보다 산업부가 반대 내지 부정적 의견이 크기 때문이다. 비견한 예로 폭염을 피하기 위해 에어컨을 켜다 11단계의 누진제 폭탄이 우려되면서 이를 재검토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지 하루 만에 이를 번복된 바 있다. 

누진제를 3단계로 조정하고 중장기적으로 산업용이나 일반용까지 포함시켜 전기요금 체계를 전면 재검토하는 것으로 선회된 상태다. 

LPG차도 미세먼지로부터 완전 자유롭지는 않지만 전기나 연료전지차량 등을 보급하고 인프라가 구축되기 전 과도기적 사용을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과연 정부가 국민들의 건강과 쾌적한 환경, 자유로운 경제생활을 하는데 관심이나 있는지 의문일 수밖에 없다.

경유차가 급증되고 국민들이 미세먼지로 인해 입게 될 건강상 피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을 펼쳐 누진제 사태와 같은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불협화음과 진통이 발전을 위한 성장통이라면 불통과 대안이 없는 외면은 태풍을 앞둔 아침속의 고요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