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지난 12일 경주에서 규모 5.8 강진이 발생한 뒤 440여차례의 여진이 지속적으로 발생돼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0대 국회가 개원한 후 여당인 새누리당이 불참한 가운데 진행된 첫 국정감사에서도 향후 지진이 재발되거나 더 큰 규모의 지진 발생 가능성이 도마에 올랐다.

경주와 양산, 부산에 이르는 170km의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에 해당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신고리 5, 6호기 건설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전력선이나 도시가스 배관 등 전국이 망 중심의 에너지 공급시스템으로 돼 있기 때문에 LPG나 석유, 지역 열병합과 같은 분산형 에너지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은 물론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체계적인 대응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분산형 전원을 적정하게 포진시켜야 하는 것은 우리와 이웃하고 있는 일본에서 찾을 수 있다.

지난 1995년 한신대지진에 이어 2007년 이바라기현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에너지 공급 차단이 가장 적었던 것이 LPG였을 뿐 아니라 타 연료에 비해 복구도 가장 빨랐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진으로 건물과 교량 등 사회시설이 파괴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이들 시설이 파괴되면서 2차 재해인 화재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도심 공공시설이나 대피소, 학교, 민간사업소에 분산형 에너지시설을 갖춰 놓고 재해 발생시 복구활동의 거점지역으로 활용한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적지 않다.

지진과 같은 재난에 대한 예측과 대비는 사실 쉽지많은 않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과 분석 등을 통해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고 재난이 발생했을 때 빠른 복구를 통한 정상화를 위한 대응 매뉴얼과 예행연습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