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전경.
[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Korea Testing Certification)은 지난 1969년 한국기기유화시험연구원, 1970년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로 출발해 2010년 현재의 형태로 통합돼 종합시험인증 및 R&D 전문기관이다.

특히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은 전기·전자, 계량·계측, 에너지, 기계·물류, 석유화학, 녹색산업 등 대한 시험·평가·인증과 연구개발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 산업발전 및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의 역할과 사업, 발전과정, 해외사업 전략, 시험인증 등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 주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원장 송유종)의 인증기관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업들이 만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공인된 기관이 확인해줌으로써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소비자들이 고품질의 안전한 제품을 찾으려 할 때 공신력 있는 기관이 확인해줌으로써 좋은 품질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길을 넓혀준다.

제품을 소비자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하고 기업이 해외시장으로 수출하는 데에 도움될 수 있도록 제품성능과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이 시험인증기관의 역할이다.

KTC는 △전기 △전자 △기계 △기기 △에너지 △정보통신 △의료기기 △바이오 △정보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한 품목을 종합적으로 시험연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KTC는 기기·계량분야, 기기유화, 전기·전자분야가 중심이었지만 2010년 이후 종합시험연구기관으로 발전하며 전통산업뿐만 아니라 정보보안, 에너지, 바이오의료 등 첨단산업까지 영역을 확장했다.

특히 외교부, 행정자치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등 국가기관으로부터 인증기관으로 지정을 받고 나아가 일본, 캐나다, 미국 등과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으로서의 위상을 키워나갔다.

▲ 전자파 시험실.

■해외사업 전략

우선 26개국 44개 기관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해 국내기업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한 해외 인증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지역 UL마크, 유럽의 CE, 중국의 CCC, 일본의 PSE 마크 등 기업이 원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필요한 인증획득에 지원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등 5개 러시아연합에 진출하려면 CU마크가 필수인데 해당 국가에 직접 시료를 보내지 않고 KTC를 통해 국내에서 시험,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멕시코의 NOM마크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예멘 등 7개 국가에 통용되는 GCC 역시 료를 보내지 않고 한국에서 시험이 가능하게 협력이 돼 있다.

지난 7월에는 베트남 STAMEQ(정부)와 전기, 전자, 기계, 계량 등 전분야에서 시험인증 업무협력을 구축했다. 향후 인도에 국내기업이 쉽게 진출하도록 인증협력을 준비 중이다. 또한 볼리비아, 에콰도르, 파라과이 등 남미 국가에 KTC가 가지고 있는 전력연계와 같은 계량 계측분야의 기술을 전수한다.

KOICA 사업을 이용해 에콰도르에 400만달러, 볼리비아에 400만달러 규모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이와 함께 해외시험소 건축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말레이시아에 SPD 시험실 등을 지을 예정이며 파라과이에 해외기관과 공동으로 시험실을 운영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에너지분야 시험인증

KTC는 기계와 전기분야를 시험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에너지의 고효율화, 낭비제거라는 이슈에 민감하다.

군포에 위치한 본원 전기안전센터에 시험실을 두고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가정용가스보일러 △원심식 냉동기 △폐열회수 환기장치 △인버터 등 에너지효율과 밀접한 31개 기기에 대해 고효율기자재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전기냉장고 △전기냉동고 △전기냉온수기 등 13개 품목을 효율관리기자재로 소비효율등급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증시험을 다루는 기관이 먼저 국가 전력피크저감에 기여해야 한다는 자세로 기관 스스로가 에너지절약을 위해 여름·겨울철 최저·중간·최대부하 온도를 설정해 에너지절감 운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현재 쓰고 있는 최대전력이 얼마고 비용이 얼마나 예상되는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업체와 협력, 계량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스마트계량시스템을 KTC 시험실에 적용해 온도 및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하면서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테스트하고 있다.

고효율에너지 기자재를 평가하는 회전기시험센터의 시험설비를 보강해 국내 고효율기자재 인증이나 시험에 대한 능력을 강화했다. 지난해 11월 KS인증이 확대됐는데 기계와 전기·전자분야 코드가 가장 먼저 열렸다. 전통적으로 전기·전자분야는 KTC가 지속적으로 취급해오던 분야이기 때문에 시험인증 기관 중에서는 이 분야를 선점하고 있다.

▲ 향후 KTC가 나아갈 방향

또한 충북 음성에 정부자금 200억원, 지자체 10억원, KTC 50억원, 총 260억원 사업으로 시작해 KTC가 150억원을 추가 투자, ESS기반구축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ESS 시험평가센터에서는 에너지신산업의 대표 아이템으로 꼽히는 ESS와 전력변환장치(PCS),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인증서를 발급하게 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