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고리원전이 원자력발전 과정에서 방사능 누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손상핵연료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핵연료는 이송과정에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돼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연료이기 때문에 고리 1호기 폐로에 걸림돌이 될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박재호 의원은 지난 10일 한국수력원자력 국정감사에서 손상핵연료 관리현황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손상핵연료 159 다발중 70%(111다발)가 고리원전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박재호 의원은 “고리지역은 우리나라 원자력 상업발전이 최초로 시작한 곳이기에 원전 초기 운영 미숙과 오늘의 원전 노후화로 인한 손상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빈도가 높은 편”이라며 “특히 이물질로 인한 손상과 원인을 밝힐 수 없는 손상이 많은 것은 불안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박 의원은 “고리 1호기 폐로의 첫걸음이 사용후 핵연료의 이송과 손상핵연료 3개를 안전하게 옮기는 것”이라며 “핵연료 이송방안 마련과 손상핵연료 전용 운송용기의 개발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리원전에서 발생한 111개의 손상핵연료의 발생원인은 지지격자 마모 48개(43.2%), 이물질 32개(28.8%), (연료)제조불량 3개(2.7%), 기타 28개(25.2%)다. 이중 손상 원인 미규명 연료 27개 다발과 원인규명을 시도했으나 불명으로 밝혀진 1 다발이 기타로 분류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비율이 높은 ‘지지격자 마모’는 원전 가동 초기에 대부분 발생한 것이다. 지자격자 마모를 빼더라도 전국 손상핵연료의 절반이 고리에서 발생한 것이서 여전히 불안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한수원은 고리원전에서 이물질로 인한 손상핵연료 발생 이유에 대해 “정비 작업시 크기가 작은 정비 자재 및 철사 조각 같은 소모품 등이 유실돼 계통내부로 유입될 경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라며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물질 유입방지 프로그램을 강화해 운영중”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폐로 예정인 고리1호기는 사용후 핵연료 441다발의 저장용량 중 328다발을 채워놓고 있으며 손상핵연료는 3다발이 남아 있다. 한수원은 발전소 자체 내규로 이동과정에서 파손 등의 위험 때문에 손상핵연료의 이동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한수원은 고리 1호기 폐로를 위한 손상핵연료 대책으로 “손상핵연료는 엄격한 안전요건을 적용하여 별도 보관통에 장입(CANNING)해 건식저장 전용운반용기로 운반할 계획”이라며 “향후 건식저장 등 운반 필요시 손상핵연료를 운반할 수 있는 용기를 별도로 제작, 운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