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보겸 기자] 한국가스안전공사가 20년 전 내진평가방안을 마련하고도 현재까지 지역별 배관망 분포 및 내진설계값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정유섭 의원(새누리당 부평갑)은 지난 11일 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가스안전공사가 1997년 용역을 통해 내진설계가 미적용된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 및 향상에 대한 방법을 마련하고도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수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경주지진 당시 가스공사가 가스배관망의 폭발위험에도 공급정지를 하지 않았던 것과 관련 이미 1998년 가스공사의 의뢰로 수행한 가스안전공사의 용역에서 지진발생시 임시공급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안전공사는 고베지진발생 직후인 1997년 ‘가스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연구’ 용역에서 내진기준 수립 및 기존 배관망에 대한 성능검사 방법 등을 마련했지만 7년 뒤인 2004년에야 내진설계가 의무화됐다.

이는 내진설계가 적용돼지 않았던 기존 도시가스 배관망에 대한 성능검사 필요성을 이미 오래 전에 인식했지만 가스배관에 대한 정기검사 및 정밀안전진단 시 내진성능은 전혀 파악하지 않고 있다.

만약 내진설계가 의무화됐던 2004년부터라도 2년마다 실시되는 정기검사 시 성능을 평가했다면 내진 미적용 도시가스 배관 2만2,777km 구간을 17회나 실시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달 12일 경주지진 발생 당시 가스공사 경주외동 관리소에서 최대 7.1까지 지진진동값이 계측되는 등 경주를 비롯한 포항 및 김해, 밀양에서 도시가스 배관망 최대 내진수준인 6.0을 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가스 안전을 담당하는 가스안전공사에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가스안전공사는 경주지진 발생이후 전국 도시가스사업자들로부터 내진설계 배관 현황을 조사했지만 실제 지역별 배관망 분포 및 내진설계값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가스안전공사는 지진 발생 시 도시가스 폭발 및 화재를 사전에 대응할 수 없고 사고가 나야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것이다.

정유섭 의원은 “지진발생 시 건물붕괴보다 더 무서운 것이 도시에 거미줄처럼 깔린 도시가스 배관의 폭발 및 화재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담당하는 가스공사 및 가스안전공사는 사전에 대처할 수 없는 구조”라며 “도시가스 배관망에 대한 전수조사와 함께 기존 배관망의 성능 평가 및 향상 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