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재강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재강 기자] 불행인지 다행인지 지난 경주지진은 국내 가스기반설비의 안전성을 되돌아보는 계기였다.

특히 이번일로 국회, 국민 등이 가스공사의 안전대책에 관심을 갖게 된 큰 동기가 됐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도 그럴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주배관망, 주요 탱크기지는 가스공사가 운영·관리하고 있다.

더욱이 지진, 태풍 등의 천재지변이 직접적으로 주요 천연가스 시설에 타격을 줄 경우 그 피해는 큰 인명피해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에너지안전을 통틀어 비단 원전의 안전성만 걱정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실 가스공사를 비롯해 도시가스 등 배관 관리자들은 천재지변을 대비해 확실한 안전매뉴얼을 갖고 임하고 있다. 국가 안전시설인 만큼 24시간 철통 관리는 기본이다. 

그래서 이번 국감에서 가스공사의 답변에 더욱 아쉬움이 드는 것은 왜 일까.

경주지진 당시 안전조치와 관련해 이승훈 가스공사 사장은 “자체 진단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해 일부 정압기지가 안전정지기준을 넘었음에도 정지시키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안전매뉴얼일수록 보다 철저한 규정 준수가 필요함에도 정지 원칙을 따르지 않았다. 가스공사 스스로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았다고 시인한 셈이 됐다.

만약의 불상사를 막기 위해 존재하는 게 안전기준·수칙이다. 안전기준을 간과하고 자의적으로 판단한다면 결국 이를 지켜야하는 담당자나 조직의 마인드 문제라고 할 수 밖에 없다. 이게 우리의 현실이라면 그런 마인드를 뜯어고쳐야 하는 것은 어쩌면 필연이다. 안전 앞에 타협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시행착오는 이번 한 번이면 족하다.

이제부터라도 이 같은 재발을 막기 위해서 가스공사는 보다 철저한 자구안과 뼈를 깎는 쇄신이 필요할 것이다.

아무쪼록 가스업계가 경주지진을 계기로 안전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되돌아보고 부족한 점들을 수정·보완할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