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겸 기자
[투데이에너지 김보겸 기자] “고압가스의 사고로 사상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규정은 사고조사 등 사후조치 위주로 이뤄져 있다”라고 한 의원은 현행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맞는 말이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고압가스 등을 포함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사후조치를 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다.

물론 사고가 터졌을 시 대응책을 만드는 것은 좋다. 하지만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사고발생률을 줄이는 것이 더 좋은 방법 중에 하나다.

이와 함께 문제가 되고 있는 게 또 있다. 미보고 업체의 고압가스 유통량 부실관리가 그렇다.

2014년에는 조사대상업체 867곳 중 75개 업체의 경우 고압가스가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지 파악도 못하고 있다.

또한 사고업체 임에도 불구하고 유통량 조사대상에도 빠져있고 보고대상 업체인데도 사고 이전에는 유통량을 보고 하지 않은 허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이는 고압가스 안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고압가스의 일부는 인체에 해로운 독성가스를 함유하고 있어 사고가 발생할 경우 공기 중에 노출돼 큰 참사를 불러올 수 있어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지금이라도 대비를 해야 된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은 미보고 고압가스 업체의 유통량부터 어떻게 되는지 먼저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고압가스의 안전관리를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제조·유통·보관 등에 대한 통계를 만들어 철저한 관리를 해야 한다.

이제는 당장 눈앞에 있는 것만 볼 것이 아니라 멀리 내다보고 크게 봐야한다.

우리나라도 가스산업으로는 선진국에 가깝다.

더 이상 사후적 조치가 아닌 사전예방을 통해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걱정이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