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겸 기자

[투데이에너지] 최근 드론산업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주 10일 국토교통부의 주최로 드론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정부의 관계자는 2025년까지 세계 드론시장이 109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결과를 발표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에서 편리성 및 응용 범위가 넓은 드론을 재난 감시 및 대응, 하천관리, 사고대응 등 에너지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곳에서 방대하게 쓰이고 있다.

그결과 정부는 드론 활성화 지원 로드맵을 통해 드론산업을 2026년까지 국내시장 2조5,000억원(세계시장 8.5%)의 규모까지 성장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그만큼 드론이 국가 신성장동력 중 하나란 소리다.

하지만 정부가 목표한 것을 달성하기에는 갈길이 멀다. 그리고 해결해야할 문제점들도 많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핵심기술의 경우 선진국과 비교 시 80%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 중이다. 기술격차로 분석하면 5년 내외다. 이는 규제혁신 추진으로 선진국 수준의 규제환경을 마련했으나 국내산업은 걸음마 단계라는 것이다.

또 S/W, 충돌·회피, 안전 등에 대한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국내 서비스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이나 중대형 위주의 플랫폼 기술, 부품·S/W업체 역량 부족 등으로 경쟁력 확보도 어려운 상태다. 업계에서는 정부에서 추가적인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조기대선이 시행됨에 따라 드론산업이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갈지도 주목해야 한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정부가 보안부분 외에 드론과 관련된 대부분의 규제를 풀고 있다는 것이다.

드론산업이 발전하려면 정부의 정책이나 제도만으로는 안된다.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야 드론산업의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 같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