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원자력발전소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CLP) 배면부식 점검에서 고소지역인 상부돔 등은 제대로 점검이 안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윤종오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 자료를 검토한 결과 콘크리트 시공이음부(CJ)를 중심으로 초음파점검이 이뤄지고 상부돔 등은 육안점검만 수행됐다.

원안위 자료에 따르면 CJ 기준 상하 5cm, 원주방향 30cm 간격으로 초음파 두께를 측정하고 부식부위 발견 시 상·하 2.5cm, 원주방향 2cm 간격으로 추가 측정했다.

이에 반해 증기발생기, 배관 및 케이블 트레이 등 내부구조물이 배치된 상부돔 지역은 접근이 어렵다는 이유로 기존대로 육안점검만 진행됐다. 

원안위는 “현재까지 확인된 부식들이 대부분 CJ부에서 발견됐으며 일부 CLP 절단 후 배면 조사결과 건조상태로 외부 수분유입 가능성이 없어 추가적인 부식진전은 예상되지 않는다”라며 “상부돔 및 일부 벽체 CLP 배면에 부식발생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윤종오 의원은 “격납건물은 방사성 누출을 막는 최후의 보루”라며 “한빛원전 2호기의 경우 CLP 구멍까지 뚫린 상황에서도 예상을 전제로 전면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즉각적인 검사를 주문했다.

실제 접근이 어려운 부분을 점검할 방법도 아직 개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원안위 자료에 따르면 사업자(한국수력원자력)가 검사로봇 등을 연구개발 중이지만 이마저도 3년 정도 소요될 예정이다.

윤 의원은 건설허가와 운영허가, 정기검사 등의 근본적인 허점도 지적했다.

애초 설계 및 건설단계에서부터 부식발생 문제를 예방하는 허가기준이 충분히 마련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정기검사에 맞춰 CLP 점검을 하겠다는 것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윤 의원은 “부식을 최초 확인한 시점이 지난해 6월이었다”라며 “시민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미루지 말고 즉각 전수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윤 의원은 “OPR과 APR 노형도 안전을 예단하지 말고 즉각 전면 조사할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