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지난해 인공지능인 알파고와 이세돌 프로기사간 대결이 전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된 바 있다. 이는 최근 전세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례다.

국내 정부와 공공기관, 연구소 등이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자료를 보면 4차 산업혁명이 키워드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세미나와 토론회도 자주 열리고 있다. 정부의 정책방향이 4차 산업혁명 대응으로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18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에 4대 핵심분야 중 하나로 4차 산업혁명을 반영했다.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정부 예산을 중점적으로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을 처음으로 예산안 편성 지침에 반영한 점이 주목된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정부 예산이 신규로 편성된다는 의미다.

환경부의 경우 지난달 ‘지능형 환경관리 대책반(T/F)’을 발족하고 인공지능(AI) 등 첨단 IT기술을 적용한 환경관리 정책과제 발굴에 나섰다.

4차 산업혁명은 지난해 초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밥 교수(세계경제포럼 회장)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를 던지며 급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다. 기자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호기심으로 지난해 4월 출간된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책을 읽고 있다.

슈밥 교수는 이 책에서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은 21세기의 시작과 동시에 출현했으며 유비쿼터스 모바일 인터넷, 더 저렴하면서 작고 강력해진 센서,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이 특징”이라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3대 기술로 물리학•디지털•생물학 기술을 제시했다.

사공일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은 이 책을 통해 “인공지능과 로봇, 빅데이터와 클라우딩, 3D 프린팅과 퀀텀 컴퓨팅, 나노, 바이오기술 등 거의 모든 지식정보 분야에 걸친 눈부신 속도의 발전이 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있다”라며 “과거에 인류가 경험했던 어느 산업혁명에 비해 더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빠른 속도로 진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에너지분야로 좁혀보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에너지정책 추진방향’을 주제로 정책 워크숍을 개최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산업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의 매커니즘이 발전소, 석유•가스 공급망 등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 널리 적용됨에 따라 관련 통제•모니터링시스템이 고도로 진화하게 되고 에너지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구성요소가 되는 ‘에너지 4.0’ 시대가 도래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부는 “에너지신산업분야에서 확실한 성공사례를 창출하는 등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는 방향으로 에너지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정부의 정책방향이 4차 산업혁명 대응으로 모아지고 있어 민간부문에서의 신기술개발 노력이 더욱 필요해졌다.

하지만 취재현장을 다니다보면 중소기업은 아직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한 듯하다.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안도 고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