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욱 기자

[투데이에너지] 최근 대선과 맞물려 원자력발전소·석탄화력발전 중단이 에너지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원전은 안전, 석탄화력은 미세먼지가 문제로 지적되며 대선후보자들의 공약에 들어 있다.

특히 9일 대선 결과에 따라 대통령이 당선된 당에서는 정책 공약을 추진해 나갈 때 원전과 석탄화력에 대한 공약 이행은 당연시 되는 결과다.

다만 이 공약을 이행해 나가기 전에 살펴볼 문제도 있다는 것이다.

과연 원전과 석탄화력 중단을 통해 현재의 전력수급과 전기요금 등의 부분을 해결할 수 있냐는 것이다.

기저발전인 원전과 석탄화력을 줄여나가면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 사용량을 충당하겠다는 구상은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멀어보인다.

전기는 수요에 따라 공급이 이뤄져야 하지만 현재 국내의 풍력과 태양광발전 등으로 인한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은 기저발전을 충당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만약 신재생에너지로 충당이 가능하다고 해도 전기요금 부분에 있어 현재의 전기요금 체계를 유지하기는 힘들다.

또한 전기사용량이 급증하는 반면 전기 공급량이 똑같아 지거나 낮을 경우 대정전인 이른바 ‘블랙 아웃(blackout)’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단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증가시켜 나가야 대정전도 피하고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진행될 수 있다. 무조건적인 탈핵과 석탄화력 퇴출만이 옳은 길은 아니다.

특히 세계 주요 나라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분산형 전원 구축을 시행 및 준비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지난 2014년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오는 2035년까지 발전량의 15%를 소규모 분산형 전원을 통해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안을 통해 실현이 되고 있지는 않고 있다.

다만 일부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ESS를 통해 분산형 전원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전국적으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이제 현실에 맞게 단계적으로 에너지 분야 정책을 추진해 나가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