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본지는 5월 특집호(5월8일자)에서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환경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에너지·환경산업이 어떻게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는 지 살펴봤다.

산업부는 에너지신산업을 4차 산업혁명시대 최적의 에너지 솔루션으로 판단하고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ESS), 제로에너지빌딩, 스마트홈, 전기차 등 다양한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데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난 3월 ‘지능형 환경관리 대책반(T/F)’을 발족해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환경관리 정책을 발굴하고 ‘지능형 환경관리로의 혁신방안(가칭)’을 마련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는 ‘2018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에 4차 산업혁명을 반영,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정부 예산을 중점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가 이처럼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4차 산업혁명이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독일, 일본 등 해외 선진국들은 4차 산업혁명을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정부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의지와는 달리 석유·가스 등 기존 전통에너지는 아직은 4차 산업혁명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산업부도 에너지신산업이나 스마트공장 등에 대한 4차 산업혁명 지원방안을 내놓긴 했지만 석유·가스 등 전통 에너지산업에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등을 융·복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일 뿐 구체적인 지원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금 당장 석유·가스에 대한 4차 산업혁명 아이템과 밑그림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석유·가스 기업들도 4차 산업혁명을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해야 할지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석유·가스는 사양산업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지금도 주요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래에도 석유·가스는 어떤 식으로든 그 역할을 지속할 것이다. 전통 에너지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과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해외사례 조사 등이 필요하다. 석유·가스 기업들도 4차 산업혁명을 막연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각 산업 특성에 맞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한편 4차 산업혁명은 어느 날 갑자기 출현한 것이 아니다. 클라우스 슈밥 교수는 그의 저서에서 “4차 산업혁명은 21세기의 시작과 동시에 출현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이 너무 늦었다고 4차 산업혁명의 길로 빨리 가야한다고 재촉하거나 호들갑 떨지 않았으면 좋겠다. 4차 산업혁명이 현재와 미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과거와의 연속선상에서 차근히 준비해나가면 될 일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