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신정부 출범 후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신재생에너지 확대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비율을 2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수립돼야 할 제8차 전력수급계획을 비롯해 2018년 수립될 에너지기본계획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기조가 정말 국가 정책으로 반영될 지에 대해서도 초미의 관심사다.

신재생에너지발전을 2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65GW가 돼야 한다. 최근 태양광을 중심으로 해상풍력, 육상풍력, 바이오매스에 이르기까지 보급이 빨라지고 있어 목표를 달성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다는 평가다.

또한 현재 기술적 잠재량이 총 에너지수요의 4배, 전력소비량의 24배에 이르고 신재생에너지 전력보급 잠재량이 전체 수요의 65%에 달하는 만큼 향후 기술변화에 따라 이는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업계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국가에너지의 20%까지 확대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합의가 이뤄져야 하고 무엇보다 발전량 증가에 따른 전력계통문제가 남아있다는 것이다.

풍력, 태양광 등 변동하는 신재생에너지 증가에 대비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백업시스템, ESS, 스마트제어 및 수요반응 등 전력시스템의 지능화와 유연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노후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잠정 중단하고 또 노후원전 폐로를 결정하는 등의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보다 추진력을 갖기 위해서는 공급 불안정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정부의 확실한 액션플랜 등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