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후 1호 지시 업무는 일자리 창출이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집무실에 일자리 창출 업무 상황판까지 만들어 직접 일자리 정책을 챙기고 있다.

지난달 12일 제351회 국회(임시회) 본회의에서 일자리 추경 시정연설까지 했다. 추경과 관련해 대통령이 직접 시정연설을 한 사례는 문 대통령이 처음이다. 그만큼 일자리 창출이 절박하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이다.

문 대통령은 시정연설에서 2002년 이후 최고의 실업률을 보이고 있는 실업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11조2,000억원 규모의 일자리 중심 추경을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의 일환으로 공공부문에서 일자리 3만개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제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일자리 추경이 논의된다.

에너지 공공기업들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가스공사는 지난달 사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노동조합과 함께하는 ‘KOGAS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했다. 그 산하에는 일자리창출단, 고용혁신단, 지역사업소 일자리 TF 등을 가동하고 있다.

그러나 일자리 창출이 계획대로 잘 진행될 지는 미지수다. 일자리는 말 그대로 일을 할 수 있는 자리다. 일자리도 없는데 억지로 신규인력을 채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일자리를 만들려면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 천연가스시장은 포화 상태다. 결국 수소연료전지, LNG벙커링 등 신규 사업이 활성화돼야 하는 데 이러한 사업들은 이제 시작단계다. 어느 정도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린다. 제도적인 개선 등도 이뤄져야 한다.

한국가스공사를 비롯해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는 해외자원개발 부실로 자원개발 신규투자가 제한돼 있다. 석유공사와 광물공사는 자원개발 부실을 털어내기 위해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인력을 감축 중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원개발 부문 인력채용은 전무하다. 자원개발 시장 침체로 민간기업들도 자원개발 부문 인력을 줄이거나 아예 채용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운 일자리를 늘리지 못하면 기존 일자리를 쪼개어 신규 직원에게 나눠줄 수 있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직원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과 불협화음을 양산할 수 있다. 신규 직원을 뽑으려면 그만큼 예산이 있어야 하는 데 한정된 예산이라면 문제가 될 수 있다. 기존 직원들에게 분담토록 한다면 기존 직원들의 연봉이 낮아져 반발을 살 수 있다.

일자리 창출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기본적으로 기업들이 사업을 확대하고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져야 한다. 노사 간의 원만한 협의와 소통, 이해와 양보도 필요하다.

일자리 창출이 신정부 최우선 국정과제라는 이유로 공기업이 실적 위주로 너무 무리하게 일자리 창출을 추진한다면 또 하나의 부실과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정부도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조화를 이룰 때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