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시현 기자
[투데이에너지] 요즘 날씨는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날 정도로 후덥지근하다. 이럴 때 가장 생각나고 가장 가까이 하고 싶은 것이 바로 찬바람이 솔솔 나오는 냉방기기다.

사무실, 음식점, 가정에서도 에어컨 등 냉방기기들이 가동되며 요즘 흔히 말하는 ‘열일’을 하고 있다. 냉방기기로 시원한 건 좋은데 누진세가 조정이 됐다고 하더라도 마음 한켠에서는 전기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2011년 전력사용량이 크게 늘면서 블랙아웃 직전까지 간 바도 있다. 그러다보니 전력에 의존한 냉방을 분산하고자 GHP에 대해 눈을 돌리며 지원을 확대했다. 이도 어느덧 7~8년 가까이 됐다.

정부에서는 시장 정착을 위해 지원을 늘려오다 최근 몇 년간 지원금을 줄였다. GHP는 아직 냉방부하 중 7% 정도 남짓으로 시장에 정착했다고 하기는 무리가 있다. 갑자기 줄어든 지원은 GHP 보급을 위축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쌓여가는 미지급금까지 더해지면서 기 설치자나 설치를 원하는 소비자에게 자칫 GHP에 대한 불신을 야기할 수도 있다.

에너지 분산이라는 좋은 의도로 시작했지만 지금 같은 상황이면 어찌보면 안하느니만 못했을 수도 있다.

항목별 지원도 중요하겠지만 일몰제라든지 아님 일정 시장점유율까지 지급 등 큰 틀의 기준을 정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동안 본예산이 부족하면 추가로 기금을 조성해 지급하던 것도 조정이 필요하다. 올해는 본예산 이외에는 없다. 예전처럼 본예산이 부족해 추가로 조성해 지급해 주겠지하는 생각이 미지급금 사태를 키운 원인일 수도 있다.

GHP 관련업계의 생각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의 지원금은 화수분이 아니다.

지금의 GHP 위기는 자생적으로 굳건히 내실을 다져 경쟁력을 키우는 하나의 계기가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