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3년간 도시가스 수요 감소 및 건설경기 악화로 영세한 도시가스 시공업체들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에 놓였다. 이러다가 문을 닫는 게 아닌가 하고 걱정하는 시공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올해 초부터 원자재값 급등으로 인한 자재비 상승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또한 시공업체들의 무분별한 난립으로 과당경쟁이 이뤄지고 있다. 과당경쟁은 덤핑 공사 수주를 초래하고 이는 곧 안전한 시공을 하는 데 저해요소로 작용한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특히 과거 표준공사비 제도, 수탁공사제도가 폐지되면서 무자격 시공업자들이 우후죽순으로 출현, 기존 유자격 시공업체들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시공단가 하락, 부실시공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시가스 보급률이 90% 이상인 서울의 경우 도시가스공사 물량이 대폭 줄어 시공업체들간 불꽃 경쟁이 연출되고 있다. 암반 지역 등 공사하기 힘든 곳만 남아 있을 뿐 웬만한 곳이면 도시가스 관로가 다 깔린 게 현실이다.

또 공사하기 힘든 지역은 그만큼 공사비 대비 수익성이 부족해 공사 수주를 피하거나 아예 지방으로 이전하는 업체도 생기고 있다.

모 시공업체 사장은 “도시가스 관로 공사 입찰시 10여개 시공업체가 입찰에 참여하는 일이 부지기수”라며 “영세하거나 시공의 우수성을 인정받지 못한 업체들은 경쟁에서 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공사물량 감소, 경기 악화, 업체 난립으로 인한 과당경쟁 등의 요인으로 급락한 시공단가는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공업체들은 부실시공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선 적정한 시공단가가 형성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단적인 예로 IMF 당시 2억원짜리 공사가 최근에는 약 7,000만원 수준으로 급락한 후 수년째 시공단가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IMF 이후 물가, 자재비, 인건비 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50∼60%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인입관 공사비도 평균 50만원 수준으로 떨어진 지 오래다. 계량기 설치공사도 1건 당 60∼70여 만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한다.

이에 시공업체들은 사무실 규모 축소, 인력 구조조정 등 피나는 비용절감을 진행하고 있다. 또 전방위적 공사 수행보다는 한 분야의 전문 시공으로 경쟁력을 갖추려는 회사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는 도시가스사 등의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공업체들을 진정한 협력업체로 생각하고 시공단가 인상 및 체계적인 기술교육 등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오랜 관행처럼 여겨지던 특정제품 강매, 불필요한 서류 요구, 임의점검 비용 징수 등 불공정 행위도 없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2년 삼천리, 대한도시가스엔지니어링이 특정제품(정압기) 강매 등 불공정 거래 행위로 각각 5억4,000만원, 5,500만원의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받은 바 있는 데 반성해 볼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도시가스사 공사 담당 한 관계자는 “시공업체와 상생한다는 생각으로 시공업체들을 배려하고 상호 협력한다면 부실시공 등 여러 문제점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또한 대한설비건설협회 및 가스설비시공협의회 등 가스시공 분야 협단체의 위상 강화도 시공업 발전의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가스시공분야 법 제정도 이뤄져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체들은 과당경쟁을 자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가격 경쟁보다는 시공의 전문화, 고객 서비스 강화, 부실시공 방지를 위한 기술개발 등 차별화 전략을 이용하면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