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부산 BEXCO에서 열린 ‘대한민국 수소경제사회 실현을 위한 팩트 체크’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김동용 기자] 미래 수소사회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보급 시 계통안정성 및 그리드 효율성을 위해 수소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시 한 번 제기됐다.

지난 7일 국내 수소경제사회 조기 실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대한민국 수소경제사회 실현을 위한 팩트 체크’ 세미나가 열렸다.

임희천 한국수소산업협회 기술부회장은 ‘수소경제사회 실현을 위한 우리의 집중과 선택’을 주제로 한 기조발표에서 신기후체제 대책으로 주목받는 재생에너지(전력분야)의 계통안정성 및 효용성을 위해서는 수소제조·저장 기술 및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한 수소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 부회장은 또한 미래 수소경제사회에서는 열·전기·가스가 수소로 통합되는 에너지 망으로 연계되는 사회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했다. 수소제조는 재생에너지로부터 얻는 방식으로 전환, 유망기술로는 수소제조, 전기분해를 꼽았으며 수소저장 기술과 Power to Grid, V4G 등이 수소사회를 유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수소액화 기술현황과 상용화 개발 팩트 체크’를 발표한 최병일 한국기계연구원 실장은 현재 국토교통부의 ‘고효율 수소액화플랜트 상용화 기술개발 기획’에 참여 중이라고 언급한 뒤 해당 기획의 목표는 액체수소기반의 수소인프라 형성이라고 설명했다.

최 실장은 “CO₂ 배출 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선박 온실가스 배출규제를 위해 오는 2025년 이후엔 LNG선박만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라며 “이로 인해 선박 연료를 수소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러려면 액화수소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대용량에 용이한 액화수소가 선박에 주입되는 연료량을 감안하면 더욱 효과적이라는 얘기다.

최 실장은 또한 특정 프로그램을 활용해 액화수소의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충전소 용량 250k/day, 350bar 충전 기준)오는 2020년(국내보급 기준 수소차량 1만대)에는 Tube Trailer 충전소가 kg당 8.92달러로 10.47달러의 액체수소 기반 충전소보다 저렴하지만 2025년(수소차량 10만대)에는 액체수소 기반 충전소가 5.49달러로 6.05달러의 Tube Trailer 충전소보다 더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2030년엔 액체수소 기반 충전소(5.01달러)와 Tube Trailer 충전소(5.97달러)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되며 결국 2050년엔 1달러 이상 가격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실장은 “결국 수소차량 보급이 늘어나 수요량이 증가할수록 액화수소가 더 경제적인 것”이라며 “액화수소 공급 분야에서 대표적인 기업은 린데그룹(자회사 린데코리아)이 있으며 우리나라도 궁극적으로는 액체수소 기반 인프라를 갖춰야 미래 수소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최 실장은 아울러 수소액화 플랜트 추진주체로 △가스공사 △수소유통업체 △플랜트 건설사 △연구기관 △지자체를 꼽은 뒤 추진방안으로 연구기관, 건설사, 수소유통업체, 지자체 컨소시엄(consortium)을 구성한 후 수소액화플랜트 건설 및 실증, 실증완료 후 수소유통업체에 이관하고 실증완료 후 장기적으로 가스공사 인수기지 내 대용량 수소제조 및 수소액화플랜트 건설, 국내 수소공급체계 완성 순의 방안을 제시했다.

‘수소충전소 보급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팩트체크’를 주제로 발표한 송춘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실장은 우선 독일과 일본의 수소충전소 보급 사례와 국내 보급사례를 설명한 뒤 “국내 인프라 구축이 생각보다 지연되고 있는데 주원인으로는 부지확보 문제가 꼽힌다”라며 “부지확보 기간을 법적인 부분까지 고려하면 약 1년 정도 소요되는데 사업을 추진하는 관계자들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민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송 실장은 또한 “지자체 방식과 민간 방식 중 어떤 방식으로 부지를 확보할 지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지만 누가 주체가 되든 부지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라며 “충전소 인프라가 구축돼야 수소차가 늘어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현재 국내 수소충전소는 전국에 10기가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추가로 2기, 내년엔 9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수소충전소 구축이 지연되는 요인으로는 통상적으로 △부지확보 장기간 소요 △지자체 업무집중 △정부보조금 운영 프로세스 한계 △사회적 인식 등이 꼽힌다. 그중 부지확보가 가장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수소전기차 보급 정책 실현을 위한 팩트체크’를 주제로 발표한 구영모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실장은 제2차 ‘환경친화적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계획(이하 환친차계획)’에서 수소차 보급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이유로 △수소차 가격 △충전소 구축 비용 △충전소 국산화율 저조 등을 꼽았다.

구 실장은 “관계부터 합동을 기본으로 지난 2010년엔 산업부, 2015년엔 환경부를 중심으로 수소차보급계획이 세워졌다”라며 “2차환친차계획에서는 정책이 먼저였다면 3차환친차계획에서는 산업이 먼저다. 목표를 설정한 뒤 산업계가 따라가는 구조가 아니라 현실성을 따져보고 좀 더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 된 게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

구 실장은 또한 제3차 환친차계획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차 활용 사회기반 조성 △보급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정책이나 산업화 중심이 아닌 구매자 중심에서 활성화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구 실장은 이와 함께 아직 수소가격이 책정되지 않은 점을 지적한 뒤 “현재 지자체에서 수소공급가격으로 판매 중인데 이럴 경우 지자체가 2~3년 뒤에는 수소충전소 운영이 매우 어려워 질 것”이라며 “수소가격을 설정하는데 이해관계자들이 올해 안에 모여서 방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내년에 이 부분 때문에 수소차 보급에서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구 실장은 이어 “아직 세금이 붙지 않는 수소에 세금을 책정한다면 경우의 수는 많다”라며 “유통에 드는 비용 등도 유통계와 상의해야 하고 그 외 부분에서도 이해관계를 맞추기 쉽지 않기 때문에 올해 꼭 논의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한국수소산업협회(협회장 장봉재)와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학회장 오인환)가 주최, 투데이에너지와 포항테크노파크가 주관한 이번 세미나는 부산 BEXCO에서 열리는 ‘2017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ENTECH)’의 부대행사로 마련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