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국내 대다수의 원자력발전소들은 최초 건설 예산에 비해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의 추가비용을 들여 건설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권칠승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짓기 시작한 원전 10호기에서 최초 금액(최초계약금액)대비 설계변경으로 인해 증가된 금액은 1413억원으로 나타났다.

신고리 1·2호기 원전 최초 건설비용은 24,288억원으로 산정됐지만 결국 최종 건설공사비로 약 26,768억원이 소요되면서 2,480억여원이 증가했다.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신한울 1·2호기의 건설 비용도 벌써 최초 예산보다 1,159억원(79,823억원8982억원)이나 증가해 공정률이 95%인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비용이 더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이밖에도 월성 1호기(6,115억원6,428억원), 월성2호기(1991억원15,500억원), 월성 3·4호기(2915억원34,067억원), 한빛 5·6호기(32,218억원4232억원), 한울 3·4호기(33,459억원39,795억원), 한울 5·6호기(33,972억원38,885억원) 등도 모두 최초 건설비용에 비해 최종비용이 더 많이 소요됐다.

비용 증가의 이유는 최초 설계에 오류가 있어 설계를 변경하면서 생긴 비용 등 때문인데 설계 오류에는 원전의 안전과 직결되는 부분도 포함돼 있다.

권 의원실이 확인한 내용에 따르면,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에 설치된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의 시험 성적서가 위조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관련 제어케이블을 긴급 교체해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신한울 1·2호기 경우 최초 설계에 반영되지 않았던 안전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했다.

설계변경의 원인은 수량산출 오류 수정’, ‘설계누락분 반영’, ‘설 계보완·공법변경등으로 다양했다. 신고리 1·2호기 주설비공사에서는 설계변경의 사유로 도면과 내역 불일치에 따른 설계 변경등을 들고 있다. 또 신월성 1·2호기의 경우 당초 설계에 반영되지 않은 부지 내 지장 토목구조물 철 거공사’, ‘공기연장에 따른 간접비 보상등을 들기도 했다.

지역 협력시설 공사 역시 설계변경이 다수 발생했는데 월성스포츠 센터 공사와 관련해 마감재를 변경하거나 설계도서 불일치 사급자재 변경 구매’, ‘기초구조 변경에 대한 추가 공사기간 연장건이 있었으며 직원 사택 공사와 관련해서도 산책로 및 바비큐장 설치분 반영이라는 내용도 있었다. 그 밖에 각종 민원 사안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권 의원은 설계변경에는 면밀한 검토 없이 사업부터 시작하고 보자는 원전업계의 사업방식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며 이처럼 1조원 이상의 공사비 증액이 일어났음에도 주무부서인 산업부는 단 한차례도 감사를 한 적이 없었다고 질타했다.

또한 권 의원은 공론화위에서 공사재개를 결정한 신고리 5·6호기에서도 벌써부터 보조기기에서 57억원, 원전기반공사에서 68억원이 각각 증가했다라며 지금부터라도 세밀하고 체계적인 공정관리로 국민의 혈세가 낭비되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