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최근 내륙 탐광의 석유기업에 해양 탐광을, 해양 탐광의 석유기업에 내륙 탐광을 허가했다. 그러나 이번 정책 전환은 석유회사의 신규진입을 허용해 생산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내륙 탐광 기업은 해양 석유 탐사·생산 분야의 기술과 경험을 가진 외국 기업과의 공동 개발을 허가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최근 페트로차이나에 남지나해의 심해 18광구의 탐광을 허가했다. 이 광구는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이 계속된 스프라트리 제도의 일부도 포함돼 있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조치는 1983년 이래 최대의 정책 전환이다. 해양 탐광은 지금까지 중국 해양석유(CNOOC)의 특권 사업이었다. CNOOC는 82년 이래 남지나해에서 해양 탐광에 종사해 왔으며 많은 사업을 외국 기업과 합작으로 진행해 왔다.

한편 페트로차이나의 탐광 사업은 내륙 혹은 수심 5m까지의 연해로 한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페트로차이나의 해양 석유 탐사·생산 허가가 나왔다고는 해도 페트로차이나는 심해 탐광·생산 경험이 없어 실질적으로 심해에서의 탐광과 생산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번 정책 전환은 동사에 석유 증산 수단을 주기 위해서 행해진 것이 아니라 석유의 풍부한 매장이 추정된 해역에 있어서 중국이 영유권 주장을 하기 위한 특별조처가 목적이라는 견해가 유력하다.

중국은 지금까지 스프라트리 제도에서의 석유·가스의 공동 탐광·개발을 제안해 왔지만 동 제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여러나라 중 하나인 베트남은 이 제안을 무시하면서 주권 문제 해결이 선결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가 페트로차이나에 해양 탐광을 허가 한 것은 스프라트리 제도 이외에 지하자원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서로 경쟁하고 있는 중국과 인근 국가와의 마찰이 강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으로 지난 6월에는 CNOOC가 동중국해에서 대규모 가스전 개발에 나섰다. 이에 일본 정부는 강하게 항의하면서 중국이 제안한 동 해역에서의 공동 개발을 거부하고 독자적인 조사를 실시한다고 전했다.

결과적으로 중국 정부의 석유·가스 탐사 및 생산 규제를 완화함에 따라 향후 중국의 자원개발 부문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예측에는 대부분의 자원개발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