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쉘 휴스턴 연구소 김동섭 박사
현장 반영한 유효성 있는 코드 제정 필요 / 산학연 고른 참여와 충분한 검토 이뤄져야

압력기기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고 있는 정부는 관련기관 및 규제기관과 지속적인 연락체계와 우호관계를 가지는 것이 안전성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산업기준령, 표준화 코드를 산·학·연의 의견을 종합해 제정하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중요 사항임을 명심해야 한다.

압력용기 안전성에 관계되는 많은 산업 코드들이 제정 운영되고 있지만 실상 실용성이나 현장성 등에 무리가 있어 이용자들이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거나 코드 자체가 유명무실해지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고 있다.

그 몇 가지 이유를 든다면 선진국의 규정들을 번역 조합하는 과정에서 일관성을 잃거나 현장 경험이 없는 학계, 연구계의 주도 하에 번역이나 코드 해석을 진행함으로써 현장적용에 무리가 있는 경우, 제정위원의 구성분포가 특정분야만 집중된 경우 등이다. 특히 현장경험이 없는 대학이나 기초연구기관에서 이러한 코드를 제정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규정을 만들 위험성이 매우 높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학계, 현장, 제조업체, 규제기관이 고른 분포로 참여해 충분한 검토와 확인 논의와 투표과정을 거쳐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계 전문경영인들이 표준화작업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규정제정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최근 산업계의 감량경영, 비용절감, 인수합병 등의 결과로 나타난 부정적인 결과 중 하나로 지식과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산업표준화위원회에 참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로 전문인들의 고른 참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기준제정에 있어 산업계는 현실성 있는 입장이 반영되지 못하여 이로 인한 산업계 자체가 불필요한 규정에 의해서 재정적 시간적 손실을 가져오는 오류를 지속적으로 범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최근 일본 고압가스안전협의회와 관련업계가 공동으로 미 석유기구의 안정성 관련 코드를 기본으로 자체기준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미 석유기구 제정위원인 나를 비롯 모든 위원들은 일본의 공동연구 정도 및 규정 내용의 이해 수준이 상당히 높다는 점을 발견하고 경탄을 금치 못했다. 이는 곧 산업표준화에 대한 중요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참여를 이루어내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산업코드 및 기준의 적절한 적용은 효과적인 압력용기 안정성 프로그램의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인도 미 석유기구 및 미 기계학회 post construction code를 제정하고 이를 개선, 갱신하는데 상당 부분의 노력을 할애하고 있다. 압력기기의 건전성을 적절하게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코드나 기준의 최신판을 보유하고 참조해야 하며 이러한 코드나 기준의 지침 및 권고사항을 적절히 수행한다. 이럴 때만이 압력기기의 제어력 상실로 인한 사고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드와 기준을 제정할 때는 산업계에서 가장 실력 있고 지식이 많은 사람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그래야만이 현장에서 적용될 코드를 보다 정확히 검토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관리자들을 위한 질문

압력용기 검사를 위해 최신판의 산업코드를 이용하고 있는? 또 이러한 코드를 최신판으로 유지하데 노력하고 있는가?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