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쉘 John. Reynolds 검사책임자(左) 미국 쉘 휴스턴 연구소 김동섭 박사(右)
많은 회사들은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seamless 파이프보다는 전기저항 용접(ERW)한 파이프나 배관을 점차 늘려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특정한 부식환경이 형성될 경우 전기저항 용접을 한 용접부는 다른 곳보다 훨씬 빠른 속도의 부식이 진행될 뿐 아니라 파이프 내부에 용접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국부 부식이 발생할 수도 있다. 만약 이같은 상황이 조기 확인되지 않을 경우는 배관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Gas Oil Stripper의 Overhead-Line에서 이같은 이상으로 인해 폭발성 가스가 외부로 누출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발화현상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기체군이 생성되는 위험한 상황이 연출됐다. 또 다른 경우로 전기저항용접을 한 배관이 내재된 열교환기에서 용접부를 따라 부식현상이 발생해 열교환기가 조기에 파손되는 바도 있다.

이같은 이유로 현재 미국에서는 강한 부식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정에는 전기저항용접을 한 파이프와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또 최근에는 전기저항용접을 한 파이프와 배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건설현장에서 seamless 파이프와 전기저항용접을 한 파이프를 각각 구분, 설치토록하고 있어 두 가지 파이프가 혼재돼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의 전기저항용접관을 압력용기의 배관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는 않지만 만약 부득히 사용될 경우는 용접방법의 충분한 검토와 함께 용접부가 산화물질에 의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철저히 검토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들어 아주 작은 계측튜브에서 클로라이드에 의한 부식 균열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평소 중요하지 않은 배관이라고 신경을 쓰지 않아온 조그만 튜브에서 발화현상이나 독성물질의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계측 튜브가 단열재로 싸여 있을 때는 응력 부식에 의한 균열 여부를 반드시 검사해야 유사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안전관리자를 위한 질문

현재 선택적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공정에 한해서만 전기용접한 파이프나 배관을 사용중인가?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