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시판을 앞두고 있는 경유승용차 허용문제를 두고 각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교토의정서가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이 경유승용차의 시판을 반대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기존 휘발유승용차보다 월등히 많기 때문. 그러나 러시아의 교토의정서 비준으로 의정서 발효가 현실화돼 이산화탄소 저감이 발등의 불로 떨어져 새로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경유승용차는 휘발유승용차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적은 반면 미세먼지 배출량은 많다.

국내 입장에서야 이산화탄소 건 미세먼지 건 환경적으로 모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교토의정서 발효로 인해 이산화탄소 저감의무화가 국내에 부과된다면 수송부문에서도 저감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어서 일부 전문가들은 경유승용차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 전문가들은 우선적으로 환경문제에 우리보다 관심을 높게 보이고 있는 유럽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경유승용차 시판이 허용됐다는 점을 우선시한다.

경유승용차에 대한 배출규제를 엄격히 한다면 경유승용차 판매로 인한 대기환경오염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국내의 엔진기술이 세계적이라고는 하지만 이는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에 대해서다.

휘발유 운전의 승용차정책이 경유엔진 등 타 연료엔진에 대해서 기술개발을 더디게 한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제 경유승용차 허용문제는 국제적인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적인 환경규제를 염두에 두고 판단해야 할 문다.

경유 승용차의 미세먼지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어느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