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배유리 기자] 부실로 인해 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해외자원개발 관련 공기업들에 대한 통폐합 방안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같은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조심스러워하고 있지만 국회 등에서는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정부의 무리한 해외자원개발 투자로 부채규모가 급증해 현재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있는 한국광물자원공사를 광해관리공단과 통합하는 방안에 이어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에 대한 구조조정에도 속도가 붙는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현재 이들 공기업들은 지난 2016년 6월 정부가 수립한 ‘공공기관 기능조정 방안’에 따라 사옥 등 자산매각, 조직 및 인력축소 등과 같은 구조조정을 이행 중이지만 여전히 부채비율이 높아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해외자원개발 혁신 TF(위원장 박중구 서울과기대 교수)는 5일 제3차 전체회의를 개최한 후 광물자원공사를 더 이상 존속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 유관기관인 한국광해관리공단과 통합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후 해외자원개발 혁신 TF는 15~16일 서울대에서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구조조정 방안 마련을 위한 비공개 워크숍을 개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캐나나 하베스트 사업 투자를 비롯한 해외자원개발 부실로 석유공사는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손실규모가 5조원에 달하고 가스공사의 경우 지난해 기준 해외자원개발 누적 투자액이 11조5,000억에 달하지만 회수율은 22%에 머무를 뿐 아니라 12개 해외법인 가운데 8곳이 3년 동안 적자에 허덕이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들 공기업이 지난해 국정감사에 앞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손실 규모는 석유공사가 6조7,934억원으로 산업부 산하 자회사 및 출자회사 149곳의 10조9,000억원 규모의 적자 가운데 70%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가스공사가 1조9,270억원, 광물자원공사가 1조5,206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통합 방안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6년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에서 실시한 자원개발 공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 연구용역에서 석유공사와 가스공사를 통합하는 방안과 △해외자원개발 기능 이관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 △석유공사의 자원개발기능 가스공사 이관 등의 방안도 함께 제시됐었기 때문이다.  

물론 논의 결과를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이달 중 또는 검토시간 부족 등으로 늦어질 경우 올해 상반기 중 권고안이 마련돼 정부에 제출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에 따른 인력 구조조정과 부실 인수 우려에 광해관리공단은 물론 광물자원공사 노조가 강하게 반발한 것처럼 석유공사나 가스공사 노조 및 주주 등의 반발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적지 않은 파문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