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재강 기자

[투데이에너지] 정부의 ‘극동 가스파이프라인 개발사업’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지난달 30일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동북아 가스파이프라인 전력그리드 협력 포럼’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정부를 대표해 극동 가스개발사업을 지속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사실 개발 가능성에 대한 얘기는 지난해 말부터 간간히 들려왔다.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에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연결을 제안하면서 국내 언론에서도 PNG사업 기사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 사업은 극동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중국, 북한 등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국내로 들여오는 것으로 정부의 극동사업 핵심이다. 기존 LNG보다 비용면에서도 장점이 있고 주변국 역시 배관 이용 수익을 얻는 등 상호 경제적 이익이 되는 사업으로 정부가 추진 중에 있다.

문제는 주변국의 협조다. 이날 포럼에서도 정부와 국내 전문가는 러시아, 중국, 미국 등 주변국의 협력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각국의 반응이다. 이날 연설자로 나선 주변국 전문가의 발언은 원론적인 수준에 그쳤다.

정작 우리가 듣고 싶은 극동사업의 성공 가능성 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이 사업의 키를 쥐고 있는 러시아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보였다.

이 역시 워낙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과 에너지안보와 직결되는 사항으로 말을 아꼈으리라 짐작할 뿐 이번 포럼에서 대외적으로 논하기에는 부담스러웠으리라 판단해본다.

하지만 각국의 미묘한 정치 상황 등은 이 사업의 성공에 가장 큰 걸림돌임에는 틀림없다. 상호 경제적 이익보다 정치논리가 크게 작용하는 게 에너지 분야이기도 한 만큼 정부의 정치, 외교력이 더욱 절실해 질 수 밖에 없다.

현재 북한의 비핵화 움직임(?)에 따른 남북화해분위기는 정부의 평화통일이라는 큰 틀에서 고무적인 일이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정치, 외교라인을 총 동원해 주변국가가 이 사업으로 상호 경제이익과 정치안정화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청사진을 제시해줘야 한다.

명심해야 할 것은 반드시 필요한 자는 우리고,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자는 주변국이라는 것이다.

아무쪼록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정부, 가스공사 등 실무기관이 동분서주하고 있는 만큼 철저한 계획을 통해 멀지만 한 걸음씩 차근차근 실현시켜나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