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20% 달성을 두고 전기요금 폭등, 전력계통 안정 문제 등이 발생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나오는 가운데 이런 문제들이 충분히 해결이 가능하며 정부 정책의 원활한 이행이 진행될 경우 목표대로 달성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제시됐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가 주최하고 대한전기협회가 주관한 ‘SETIC 2018(전기설비기술기준 워크숍)’ 신재생에너지 기술세미나에서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비용 경쟁력이 설치 확대를 통한 시장 확대를 통해 강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로 충분히 발전량 확보가 가능할 것이냐는 우려에 대해 보급 잠재량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이상훈 소장은 “국토여건이 불리한 국내에서 재생에너지 보급 잠재량이 충분할지를 두고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지만 최근 평가된 재생에너지 전력 보급 잠재량을 보면 현재 전력 수요의 약 65%에 달한다”라며 “특히 태양광의 경우 지붕과 수상, 풍력은 해상에 보급 잠재량이 상당히 분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상훈 소장이 이날 발표한 국내 재생에너지원별 발전 보급 잠재량을 살펴보면 태양광의 경우 △건물지붕 2만3,277MW △육상 6만3,431MW △수상 및 도로 2만7,396MW △건물벽 168MW로 나타났다. 또한 육상풍력의 경우 △이용률 25% 1만1,840MW △이용률 30% 2,720MW △이용률 35% 475MW로 나타났으며 해상풍력은 △이용률 30% 1만9,330MW △이용률 35% 2만5,086MW를 보유하고 있다.

이 소장은 “재생에너지 보급 잠재량은 시간의 함수로 기술변화에 따라 계속 증가할 수 있다”라며 “이에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의 이행에 따라 충분히 보급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 소장은 재생에너지 전력량 비중 20% 달성도 전력수요가 안정된 가운데 재생에너지 증가율이 두배로 빨라질 경우 달성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최근 전력수요가 안정되는 추세며 태양광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이 빨라지고 있으며 이 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하더라도 큰 폭등은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 소장은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하면 전기요금이 폭등하지 않을지 우려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보급 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한다면 점진적으로 전기요금이 상승되지만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며 “또한 재생에너지 발전원가의 하락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어 전기요금 상승요인은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소장은 “IEA는 전력수요의 15~20% 수준까지는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하고 있지만 변동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인한 문제가 없진 않을 것”이라며 “전력계통 안정을 위한 대책과 조치는 사전에 준비할 필요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에서 국내 재생에너지 중 풍력의 경우 주민수용성 부족과 시장 내 외국산 핵심부품 및 시스템 선호 등으로 시장경쟁력이 많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정부가 향후 해상화, 대형화 추세에 맞춘 R&D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기영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PD가 향후 R&D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권기영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PD가 향후 R&D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권기영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PD는 “현재 국내의 경우 재생에너지 확대에서 큰 역할을 담당해야 할 풍력이 무분별한 난개발과 자연환경 훼손을 우려하는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지적 등으로 수용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특히 외지사업자에 의한 사업추진, 지역민원 등이 발생해 사업 지연 문제를 겪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은 성능과 신뢰성이 검증된 외국산 핵심부품과 시스템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권기영 풍력PD는 또한 “특히 국내 풍력기술의 경우 유럽기준으로 66.3%, 기술격차는 6.8년, 국산화율은 67.5%로 기술경쟁력이 열위에 있으며 가격경쟁력도 중국산대비 크게 뒤처져 있는 실정이며 특히 현재 해상·대형화 추세에 따라 해외는 6~8MW급의 해상풍력시스템이 상용화됐지만 국내는 5MW급에 머물러 있다”라며 “이에 기술난이도가 높아 실현되지 못한 증속기, 전력변환장치 등의 핵심부품은 기존 R&D 성과물과 연계한 후속 R&D 추진으로 기술고도화를 실현할 것이며 부유식 해상풍력 등 상용화되지 않은 선도기술 확보와 발전단가 절감을 위한 대규모 풍력보급 국내기반 마련 등에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