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재강 기자

[투데이에너지] 천연가스차량 업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최근 서울시가 전기버스 보급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오는 9월 전기버스 30대 투입을 기점으로 2025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40% 이상 3,000대를 전기버스로 보급한다.

이 같은 분위기는 쉽사리 사그라질 것 같지 않다. 서울시는 물론 이미 부산시 그리고 최근에는 대전시가 올해 전기버스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전국 지자체로 전기버스의 보급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로 인해 친환경자동차로 각광받던 천연가스차량의 상승세가 곧 끝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마저 돌고 있다.

천연가스차량 업계는 정부, 지자체와 함께 대기질 개선에 기여한 그간의 노력이 점차 퇴색되는 데 당황스러운 눈치다. 그동안 천연가스버스는 2002년 월드컵을 기점으로 보급이 확산, 대도시 대기질 개선에 큰 기여를 해왔고 복잡한 대도시의 효율적인 교통수단으로 시민의 발이 돼왔다. 하지만 현실은 기대와 달리 복잡하게 꼬였다. 이는 구매보조금만 봐도 알 수 있다. 현재 천연가스버스의 정부 구매보조금은 대당 1,200만원으로 서울시가 전기버스에 지원할 구매보조금(정부 포함) 대당 1억9,200만원에 훨씬 못 미친다.

더욱이 이 같은 결정이 안타까운 것은 정부의 정책과 대비된다는 데 있다.

환경부는 올해 CNG버스 구매보조금 예산을 2017년 113억원(1,110대) 보다 43억원 증액한 156억원(2,064대) 으로 편성·집행하기로 했다. 그 결과 한쪽에서는 보급 확대를 지원하고 다른 쪽에서는 보급 확대를 억제하는 기가 막힌 상황이 되고 말았다.

장기적 관점에서 봐야할 에너지정책 그것도 가장 큰 이슈인 친환경자동차 보급 정책이 혼선으로 억울한 피해자만 생기지 않을 까 우려스럽다.

지금이라도 정책의 일관성과 혹여 일방적·급진적인 정책으로 인한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공존할 수 있는 지자체의 보완대책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