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욱 기자

[투데이에너지]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력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최대 전력수요를 8,750만kW로 예측한 반면 최대 전력수요는 하루가 멀다하고 갱신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대 전력수요는 최근까지 4차례나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으며 예비전력 수준은 한자리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일부에서는 원전과 석탄화력 중단을 통해 현재의 전력수급과 전기요금 등의 부분을 해결할 수 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한울원전 4호기를 재가동했으며 한울원전 2호기도 재가동을 준비하고 있는 점이 정부의 탈원전·탈석탄이 힘들다는 것을 이를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이에 산업부는 예정된 일정에 따라 원전을 재가동하고 있다고 설명에 나서고 있는 형국이다.

실질적으로 기저발전인 원전과 석탄화력을 줄여나가면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 사용량을 충당하겠다는 구상은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멀어 보인다.

전력은 수요에 따라 공급이 이뤄져야 하지만 현재 국내의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등으로 인한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은 한계가 있다.

혹시나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수급 충당이 가능하다고 해도 전기요금 체계에 있어 현재의 전기요금을 유지하기는 힘들 수 있다.

특히 전기사용량이 급증하는 이런 무더위 속에서 전력 공급량이 수요와 똑같아 지거나 낮을 경우 대정전인 ‘블랙아웃(blackout)’이 발생할 우려도 크다.

결국 현실에 맞게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증가시켜 나가야 대정전도 피하고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분산형 전원 구축을 했거나 준비 중에 있는 곳이 많다.

우리나라도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ESS를 분산형 전원으로 확대는 하고 있지만 아직 그 보급 실적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앞으로도 찜통더위 즉 무더위는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발생할 수 있는 일이기에 전력분야도 이에 맞는 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