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LPG업계가 내부 갈등으로 홍역을 겪고 있다.

벌크로리를 이용해 3톤 이하의 소형LPG저장탱크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한된 액법 규정을 개선해 이를 10톤 이하로 확대하려고한 것이 갈등의 시작이었다. LPG판매업계의 움직임에 충전업계는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농어촌을 비롯해 경제성없는 지역에까지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하려는 정부 정책에 공동으로 대응해도 모자랄 상황에 충전업계와 상생방안은 고사하고 LPG판매업계만 살기 위해 나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도시가스에 밀려 LPG시장이 점차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충전, 판매 등 LPG업계간 밥그릇 싸움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매업계가 이같은 입장을 고수한다면 20kg, 50kg LPG용기 직판에 나서거나 소형LPG용기 활성화를 통해 테이크 아웃을 강화해 나가게 된다면 LPG용기 판매사업자의 시장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

소형LPG저장탱크로 인해 피해가 적지 않은 LPG용기 판매사업자는 수요 감소에 내몰리게 되기 때문이다.

LPG판매사업자가 3톤 이상의 LPG저장탱크에 공급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LPG용기시장을 빼앗기게 된다.

소탐대실이라는 말이 있다. 충전업계가 20kg, 50kg 용기 직판을 시작하거나 13kg 소형LPG용기를 주유소, 편의점 등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다면 LPG용기 판매사업자의 입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460만가구에 불과한 LPG사용가구를 정부가 도시가스로 전환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충전, 판매업계가 상생 방안을 찾지는 못해도 갈등 상황을 연출해서는 안된다.

현안과제인 도시가스 보급 확대 정책 대응에 충전, 판매 등 LPG 양 업계가 총력을 기울여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소모전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생은 자기 입장을 먼저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한발씩 양보하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판매업계가 3톤 이상 LPG저장탱크 공급 허용을 요구하면서 얻는 득보다 충전업계가 직판에 나서면서 잃게되는 실이 더 많을 듯 하다.

도시가스 등 다른 연료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충전, 판매 등 LPG업계는 갈등보다 화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합리적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