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향후 전력산업은 전력시스템 최적화로 구성되고 밸류체인상 부가가치 창출이 생산에서 중개·판매부문으로 확산될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경쟁체제 도입을 통해 자연독점적 폐해를 줄이고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13일 장기윤 수석연구원의 ‘우리나라 전력산업 경쟁체제 도입 현황 및 향후 전망’보고서를 통해 “향후 전력시장은 글로벌 및 국가 간 전력시스템 최적화로 구성될 전망”이라며 “미래 전력시장은 저탄소 발전원 중심으로 생산자 및 소비자가 연결되고 국가 간 계통연결을 통한 전력시장 통합이 추진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또한 보고서는 미래 사회의 변화는 메가-트렌드에 따라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에너지산업 또한 메가-트렌드에 맞춰 제도·규제 도입, 수급 밸런싱, 업역 경계의 파괴 및 통합, 기술융복합 등의 모습으로 구체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보고서는 “미래 전력산업은 저탄소 발전, 판매시장(도소매) 경쟁체제 도입, 재생에너지 같은 분산전원 확대, 이업종 간의 융복합을 통한 에너지 신산업 확산 등 광범위한 변화를 경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기업·소비자의 이해관계가 상충되지 않도록 조정과 이해가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정책개발, 인프라 구축, 기술혁신, 사업화 등 전력산업의 경쟁체제 도입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보고서는 “중앙집중식 전력공급시스템에서 분산전원 확산으로 생산중심의 발전사업에서 전력 중개 및 판매까지 포함하는 전기사업으로 업역(業域) 확대가 진행 중”이라며 “문재인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과 같은 정책 목표 하에서 재생에너지의 효과적인 계통연계 및 공급안정성 확보를 통해 분산전원 확대가 가속화 될”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분산전원 확대에 따른 송배전시장 참여자 증가 및 프로슈머의 증가 전망에 따른 생산-판매의 양방향 계약이 상시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시장참여자가 증가하면서 생산 및 운영, 연료부문에서 창출됐던 부가가치가 중개·판매 등 서비스부문으로 확산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끝으로 보고서는 “국내 전력산업 경쟁체제 도입은 현재 진행형으로 유관사업 경험을 통한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라며 “정부는 가상발전소(VPP), 수요관리, 신재생에너지 프로슈머 등 판매시장의 경쟁체제 도입과 관련된 사업기회 확대와 중장기적으로 추진될 중개부문 경쟁체제 도입과 관련해 유관기업의 ‘에너지 자립섬’ 같은 유관사업 참여를 통한 사업경험과 역량을 축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