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운 (주)넝쿨 회장.
조상운 (주)넝쿨 회장.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유가, 환율 등 대외변수에 따라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LPG사업 환경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을 모색해 나가고 이를 통해 LPG산업이 지속 발전 가능하도록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충전소와 LPG판매소를 함께 운영하는 경기도 안산 소재 (주)넝쿨 조상운 회장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LPG산업도 발전적 방향을 토대 위에 놓여 있기 때문에 끊임없는 변화로 새로운 도약을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에게 LPG를 공급하는 수단인 LPG용기는 용기대로, 산업체, 음식점 등을 대상으로 설치되는 소형LPG저장탱크는 소형LPG저장탱크대로 보급해 적재 적소에 제대로 배치시켜 나가는 것에 승부수를 걸고 있다는 얘기다.

조상운 (주)넝쿨 회장은 “파나마운하가 확장 개통되고 본격적인 셰일가스의 도입이 이뤄질 때만하더라도 도시가스, 등유 등 다른 경쟁연료에 비해 LPG가격 경쟁력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와 희망이 컸었다”고 회고했다.

유가 하락과 함께 안정됐던 환율, 이로 인해 국내LPG가격도 매우 안정적이었지만 불과 4년여만에 높아진 LPG가격이 타 연료대비 LPG경쟁력 개선을 위한 LPG판매사업자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는 현실이 된 것이 안타깝다고 설명했다.

LPG시장을 확대하고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 주택 건축이 이뤄지면 영업을 통해 금속배관, 소형LPG저장탱크 및 안전장치 등을 부착했으며 벌크로리를 이용해 LPG를 공급해 나가는 재미와 보람이 적지 않았지만 하루아침에 도시가스로 연료전환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상운 회장은 “LPG시장을 지켜 LPG산업을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LPG수입사는 물론 충전, 판매 등 전 LPG업계가 함께 노력하고 대응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뿐 아니라 앞으로 협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값싼 전기료, 정부의 도시가스 지원 정책 등을 이겨내는 길은 개개의 LPG사업자가 아니라 4,500여 LPG판매사업자와 2,000개 넘는 충전소, SK가스와 E1,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와 같은 상위단계의 LPG공급자가 뭉쳐 헤쳐 나가지 않고서는 방법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는 지적인 셈이다.

한국LPG판매협회의 기술위원, 벌크위원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조상운 회장은 “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조세정책, 유통구조에 대한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범 LPG업계가 결집할 때에는 힘을 모으고 각 사업 영역에서는 소비자들이 LPG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전력소모가 많은 여름철 전력소비에 따른 부하를 낮추기 위해 보급되는 가스히트펌프, 즉 GHP의 경우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해 도시가스에는 지원이 이뤄지지만 LPG는 지원조차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값싼 전기요금 때문에 EHP를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1,000㎡를 넘는 시설의 경우 지열이나 태양광 등과 연계한 ESS가 주로 설치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LPG경쟁력 확보는 LPG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출발점이자 최후의 보루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LPG유통구조의 개선을 통해 각종 비용을 줄여 나가야 하고 소형LPG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원격검침시스템을 부착해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렴한 가격으로 LPG를 공급받아야 하고 기름값을 비롯한 각종 관리와 유통비용을 낮춰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얘기다.

건물과 주차장 부지 등 고정비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LPG사업자간 출혈 경쟁이 아닌 발전적 경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땅값이 높은 곳에 사무실을 운영하기보다 정부 또는 지자체가 그린벨트 지역에 정부가 부지 제공을 통해 LPG판매시설을 집단화 내지 대형화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사업자에게 효율적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정부나 지자체도 체계적인 관리 감독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도 한 방안이라고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전국적으로 가스공급 배관망 설치가 이뤄진 도시가스의 경우 가스렌지 연결 또는 부품교체시에도 출장비는 물론 부품 비용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상대적으로 사업자가 많은 LPG는 무료로 부품을 교체해주거나 버너 청소 등도 서비스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가격만으로 LPG와 LNG를 비교하는 소비자 또는 정부의 시각도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역할 분담을 통해 LPG와 LNG간 균형발전이 가능하도록 정부가 앞장서 나가지 않는다면 에너지의 97%가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는 어떻게 확보해 나갈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조 회장은 “사업자가 많은 LPG판매업계는 일자리 창출은 물론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해소하는데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되는 만큼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소상공인인 LPG판매사업자는 각 사업장마다 지리에 밝은 지역사람들을 LPG공급 인력으로 도시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채용하고 있어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에도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조직화되고 체계화된 도시가스에 앞장서 지원할 것이 아니라 규모가 작고 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LPG사업자에 대한 지원에 나서는 것이 에너지복지 차원에서도 바람직한 방향성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물가안정을 위해 정부가 도시가스 요금을 동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주지만 LPG의 경우 변동되는 가격 조정요인을 제 때 반영하지 않으면 곧바로 LPG사업자의 손실로 돌아오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용 절감을 위해 LPG용기를 준공영화하거나 도서벽지 등의 주민들에게 보다 싼 가격으로 LPG를 공급받을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가스사고에서 차지하는 LPG사고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하고 상대적으로 소외계층들이 비싼 에너지 비용을 지불하는 현실을 정부가 그냥 바라보고만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정책적인 지원과 관심을 통해 제대로 된 안전관리가 이뤄지고 이런 환경 속에서 LPG업계도 희망을 갖고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지 않고서는 어느 누구에게도 만족을 줄 수 없다는 지적이다.

경제의 3주체인 정부, 기업 및 소비자 모두 만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함께 노력하고 함께 이같은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