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어기구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스마트공장 보급 현황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동안 정부 지원 3,495, 민간 지원 1,508개 등 총 5,003개의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지원, 보급했으며 지원된 예산은 2,669억원에 이른다.

올해에는 지난 9월까지 1,137개의 기업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올해 38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추진을 목표로 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양적 보급 확산에 주력하면서 상대적으로 질적 수준은 등한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은 ICT 활용정도에 따라 4단계 수준으로 구분한다. 주요 내용은 기초수준-공장 내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제품의 생산이력을 관리 중간1수준-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분석 중간2수준-시스템을 통해 생산공정을 제어 고도화수준-맞춤형 유연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공장 등 이다.

정부가 현재까지 보급한 사업 중 기초수준에 76.4%가 집중됐으며 중간1수준이 21.5%인 반면 중간2수준은 2.1%에 불과하며 고도화수준의 구축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기구 의원은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제조업 혁신 가속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을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한 정책방향이라며 정부는 양적 보급 확산뿐만 아니라 스마트공장 보급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