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2일 열리는 ‘제3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 포스터
오는 11월2일 열리는 ‘제3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 포스터

[투데이에너지 진경남 기자] 충청남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대처할 가장 적합한 연료가 바로 수소에너지다. 수소경제사회 진입을 목표로 충남은 현재 탈석탄화 및 에너지전환 뿐만 아니라 대기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안과 추진전략을 세우고 있다.

본지는 충남의 수소에너지의 장점 및 필요성과 수소에너지 기반 확대를 위한 수소경제사회 추진전략 및 진행상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사회적으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문제가 부각되며 석탄, 석유연료 에너지의 대안으로 수소에너지가 대안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울산, 충남, 광주, 창원, 강원 등 지자체들도 앞 다퉈 수소 관련 산업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충남은 충남수소경제사회 추진전략을 세우고 수소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려 한다. 충남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수소에너지보급이 더욱 중요 시 되고 있다.

충남의 에너지 생산 및 소비구조를 보면 석탄 화력발전의 밀도가 높아 전국에서 전력 발전용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국가에너지 공급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제철 및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이 밀집된 산업구조 형태로 충남연구원의 작년 조사 자료를 살펴봐도 전국 온실가스 배출량의 22%(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대량 배출하고 있는 만큼 탈석탄화와 에너지전환이 필요하다.

충남의 경우 현재 전국 부생수소생산량 219만톤 중 대산 석유화학단지와 당진제철소에서 69만톤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양이다.

또한 가축사육두수 기준 전국 2위(2016년 4월 통계청)로 축산분뇨 등이 풍부해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생산산업 육성의 최적지다.

충남은 수소전기차 부품 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산업을 추진(예타 통과)하고 있다. 2017~ 2021년까지 708억원을 투입해 R&D 18건, 장비 14종, 센터 1개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자동차 부품업체 1,100여개와 자동차 부품 연구원등 연구기관, 관련 대학 등 우수한 부품산업역량을 갖고 있다.

충남의 수소경제사회 추진전략의 기본방향을 네 가지로 잡았다.

첫 번째는 선제적 에너지패러다임 전환이다. 현재의 에너지체계는 화력발전 중심의 일방향 중앙집중식 공급시스템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분산형에너지 공급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체계를 구축 신기후체제 진입에 대한 대응을 마련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다. 수소경제사회 구현을 통해 기존 해외자원 의존형 에너지 집약산업을 탈피하고 수소에너지 생산·운송·저장 또는 재생에너지와의 연계 등에 대한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체계 선도다.

세 번째는 기후 및 환경문제 대응이다. 대규모 수소연료전지 분산전원 및 수소차 보급·충전인프라 확대, 온실가스 재활용 기술 등을 통해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고 청정에너지사회 구현이다.

네 번째는 에너지안보 확립이다. 에너지는 국가경제를 뒷받침하는데 불가결한 것으로 기존의 에너지 공급·유통 인프라에 대한 점진적 개선을 통해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최소화해 에너지 안보를 제고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충남은 수소생산, 수소저장유통, 수소이용, 정책 등 크게 4개 부문으로 나눠 각 부문별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수소생산은 △부생수소 활용 및 공급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생산 기술개발 및 보급 △탄소자원화 기술을 활용한 수소생산 기반 구축 등이다.

수소저장유통은 △수소 저장·운송기술 실증 및 보급 확산 △수소충전소 사업모델 개발 및 보급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 등이다.

수소이용은 △가정 및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 확산 △수소연료전지 기반 분산형 발전시스템 구축△수소전기차 부품산업 확대 △수소에너지 사회수용성 제고 등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은 △충남에너지 공사 설립 △수소전기차 보급 민관협의체 협력 강화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 확산기반 조성을 위한 지원 △수소에너지 전문 인력양성 등으로 볼 수 있다.

충남에서는 수소경제사회 구현을 위해 향후 10년간 진행할 단계적 플랜을 계획하고 정책변동 여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하되 기본 틀을 유지하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소경제사회 구현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총 국비 1,758억원, 지방비 460억원, 민자 6,815억원 총 9,033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일환으로 충남은 오는 11월2일부터 양일간 ‘제3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을 충남 롯데부여리조트에서 개최한다.

충남도청이 주최하고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주관하는 제3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은 수소에너지 현실화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진행된다.

이번 포럼은 기조연설로 수소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수소산업 육성 전망과 과제를 시작으로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수소에너지 활성화 정책 △수소에너지 산업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 전략 △수소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전략 등으로 세션 설명을 진행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는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수소에너지 활성화 정책에서 △독일 에너지 전환정책과 수소산업의 역할 △국내 에너지 전환정책(에너지기본계획)과 수소산업의 역할 △충남의 수소경제 산업생태계 조성과 지역 대학의 역할 등이 진행된다.

수소에너지 산업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 전략에는 △일본의 수소산업 R&D 추진 사례 △캐나다 기업의 R&D 추진 및 정책 수혜 사례 △국내 FCEV 및 부품 기술동향 및 충남기업 참여 방안을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수소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전략은 △중국의 수소버스 및 트럭 개발 및 보급 사례 △사례연구를 통한 수소버스‧택시‧카셰어링 활성화 방안 △경제성 있는 수소충전소 운영 및 경제성 확보 방안 △수소경제법안 설명 등을 발표한다.

이번 포럼을 통해 충남도는 수소경제의 순풍이 불어오고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도 의미와 성과가 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럼을 주관하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1991년 설립 이후로 대한민국 실천공학분야에서 독보적인 권위와 명성을 지닌 교육중심대로 고용노동부가 설립·지원하는 공학계열 및 HRD(인적자원개발)분야 특성화 대학이다.

6개 공학계열과 1개 인문사회계열 학부에 4,400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를 통해 취업률과 학생복지, 교육환경 등 모든 면에서 국내 최고를 자랑할 뿐 아니라 특성화된 공학교육 모델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으로 꼽힌다.

수소경제사회는 혁명이 아닌 점진적 변화의 모습으로 도래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초장기적 접근 보다는 중단기 대응 전략수립이 현실적인 접근방안으로 보인다.

에너지자립국으로서의 위치 확보와 미래를 주도한 신사업 창출 전략의 하나로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를 육성하고 있고 산업계 역시 정부의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범정부차원의 중장기적인 수소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고 관련 산업의 육성이나 사회 전체에서 수소 발전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킬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수소경제의 국가비전을 수립하고 장기 기술 및 정책 로드맵 작성을 통해 앞으로 다가올 수소에너지 사회에 대비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